58%에 달하는 약국이 평균 200만원 상당 이상의 ‘못 쓰는 의약품 재고 (이하 '불용 재고약'이라 칭함)’ 를 짐으로 떠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것 때문에 생기는 환경오염 문제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 소속 한나라당 문 희 의원실에서 직접 서울지역 약사 4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응답 약사 중 38%는 약국 내 불용재고약 규모에 대해 ‘200~500만원 사이’라고 응답했고, ‘100~200만원’과 ‘500~1000만원 이상’이 각각 24%와 14%, 그리고 1000만원 이상이 6%로 집계되었다.
또한, 불용재고약 처리방법에 대해 15%인 63개 약국만이 ‘제약회사에서 회수해 간다’라고 밝혔고, ‘그냥 버린다’가 16%, ‘처리방법을 몰라 약사회, 제약회사의 결정을 기다린다’가 64%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1%만이 폐기물처리업자에게 위탁·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문 희 의원은 “약국 내 쌓여있는 불용재고약으로 인한 외화낭비가 날로 급증하고 있다”고 밝히고, “불용재고약의 일부인 개봉재고의약품 중 처방약만 해도 재고규모가 2001년도에 약 31억원이며 2004년도에는 약 180억원으로 계속 급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불용재고약의 무단투기 등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심각하다”고 밝히고, 이는 “약성분이 다른 화학성분과 융합될 경우 또 다른 독성으로 변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불용재고약의 무단투기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해 지난 해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수도권 상수도원인 한강을 조사한 결과 해열제, 진통제, 소염제, 콜레스테롤 저하제 등 다량의 약품성분이 검출되는 등 환경오염이 심각한 수준인 것도 밝혀진 바 있다.
또한, 하수처리장에서 한강으로 방류되는 물인 방류물을 분석한 결과 살리실릭산과 소염제인 디쿨로페낙이 각각 FDA 기준인 1ppb를 훨씬 초과한 2.43ppb, 1.97ppb로 나타났다. 특히, 부산과 광주 등 주요 하천지역에서의 살리실릭산이 각각 6.7ppb, 2.2ppb로 분석되어 인구 밀집지역의 주요 하천들의 약품성분으로 인한 오염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문 의원은 “캐나다와 호주, 그리고 프랑스는 제약회사가 불용재고약 등을 일괄 수거·처리하도록 하는 ‘take-back' 프로그램을 도입·실시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환경오염과 약국 내 불용재고약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와 연구를 위한 첫 단계로 관련 전문가와 학계, 그리고 당국자를 모시고 불용재고약 문제해결을 위한 토론회를 오는 2월에 국회에서 개최하여 여론수렴과정을 거친 후 제도보완책을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