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동제약에 독이 된 '삼다수'…수익성 상실한 최성원 대표

삼다수 판매후 영업이익률 2012년 3분기 11.1%→2018년 3분기 5.1% 반토막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데이터뉴스=박시연 기자] 광동제약의 영업이익률이 삼다수 판매 이후 반토막 났다. 매출은 늘었지만 매출원가율이 급등하면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익은 역성장했다.

19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광동제약의 영업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3분기 기준 광동제약의 매출액은 5305억 원, 영업이익 271억 원, 당기순이익 202억 원으로 집계됐다. 광동제약이 삼다수를 판매하기 이전인 2012년 3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13.5% 늘었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8%, 0.9%씩 감소했다.

삼다수는 지난 1998년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이하 공사)가 농심에게 독점 판매권을 준 이후 생수 시장 1위를 지켜온 제품이다. 그러나 2012년 공사 측은 불공정 계약이라는 이유로 농심에 계약 해지를 요구했다. 이에 농심은 소송으로 강경하게 맞섰으나 결국 패소했고 판권은 광동제약에게 넘어갔다. 광동제약은 농심의 삼다수 판매권을 확보, 2012년 12월부터 생수 판매를 시작했다.

특히 고 최수부 광동제약 창업주의 외아들인 최성원 대표는 2013년 7월 대표이사 사장으로 승진했는데, 사실상 삼다수 판매를 시작하고 시장 점유율 유지에 힘쓰던 시기와 대표 취임 시기가 맞물려 경영 능력 시험대에 올랐다.


광동제약은 삼다수 판매 이후 영업이익률이 급격하게 하락했다.

2011년 3분기 13%, 2012년 3분기 11.1%였던 광동제약의 영업이익률은 2013년 3분기 9.6%로 1년 만에 1.6%포인트 하락했다. 이듬해인 2014년 3분기 9.8%를 기록하며 소폭 개선됐으나 2015년 3분기 9%로 다시 하락 전환됐다. 이후 2016년 3분기 7.9%, 2017년 3분기 5.3%를 기록했고 지난해엔 5.1%까지 떨어졌다. 삼다수 판매 이후 6년 만에 6%포인트나 급감한 셈이다.

이러한 영업이익률 악화는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원가상승률이 커 영업이익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삼다수를 판매하기 이전인 2012년 3분기 2485억 원이었던 삼다수의 매출 규모는 지난해 3분기 5305억 원으로 6년 사이 113.5% 증가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매출원가는 1472억 원에서 3624억 원으로 146.1% 늘어나면서 매출 증가율을 앞섰다. 매출원가가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인 매출원가율 역시 59.2%에서 68.3%로 15.4% 증가했다. 매출원가율은 영업활동의 능률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수치가 낮을 수록 수익성이 높음을 의미하고 반대로 높을 수록 수익성이 낮음을 의미한다.

영업이익은 2012년 3분기 276억 원에서 지난해 3분기 271억 원으로 1.8% 줄었고 당기순이익 역시 204억 원에서 202억 원으로 0.9% 감소했다. 

매출이 113.5%나 증가하는 동안 영업이익이 1.8% 감소한 탓에 업계에서는 실속 없는 외형성장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때문에 최성원 대표이사 부회장은 매출을 뒷받침 할 수익성을 이뤄내고 고 최수부 창업주의 명성을 이어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1969년생인 최성원 대표는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광동제약으로 입사했다. 2000년 광동제약 영업본부장 상무이사, 2004년 광동제약 부사장, 2005년 광동제약 사장 등을 거쳐 2013년 7월 최수부 창업주가 타계하면서 34세라는 젊은 나이에 광동제약 대표이사 사장 자리에 올랐다. 2015년부터는 광동제약 대표이사 부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si-yeon@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