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 선거 앞두고 벌써 공천 신경전

목포시의원, 막말과 당원권 1년 정지 중징계 논란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지방자치단체 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벌써 공천을 둘러싼 신경전이 달아오르고 있다. 특히 ‘공천=당선’ 지역의 잡음이 뜨겁다.

목포시의 경우 지난달 22일 평화광장 갯바위 출입금지 지역에서 이뤄진 해양쓰레기 수거활동과 관련, 현역 시의원과 시장 직무대행간 말싸움이 결국 당원권 1년 정지로 번져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결국 내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공천을 받을 수 없게 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용준 시의원은 지난달 31일 목포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전사고를 강조한 것이 ‘중징계’가 될 수 있느냐고 주장했다.

그는 “해양 쓰레기 청결활동 현장은 경사가 심해 자칫 발을 잘못 디디면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곳이었다”며 “이에 저는 특히 연로하신 통장님들의 안전을 고려해 더 이상 작업이 진행되면 안 된다고 판단, 조석훈 목포 부시장에게 강력하게 문제를 제기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항의 과정에서 언사의 톤이 높았던 점은 사실이고, 즉시 사과했다”며 “그럼에도 불구 ‘갑질’ ‘막말’로 언론 플레이를 하고 ‘중징계’까지 내려진 점은 심히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기사를 쓴 기자들은 현장에도 없었는데 어떻게 이런 기사를 쓸 수 있었을지 의문이 든다”며 “목포시청 측의 언론 플레이가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저는 이 부분을 밝히기 위해 경찰 수사 의뢰도 고려하고 있다”며 “시의원과 공무원, 자발적인 봉사자만 모인 자리인 줄 알고 해양쓰레기 수거작업을 하기 위해 나간 자리에 안정장비도 준비되지 않는 상태에서 통장님들이 카카오톡 메시지를 받고 소집되어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행사 당일의 기상과 현장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목포시의 홍보영상 촬영만을 위한 수단으로 주민들을 동원한 것”이라며 “전형적인 갑질행정, 전시행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중징계 결정 절차에 대해서도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징계 결정은 목포지역위원회가 전남도당에 진상 보고서를 올리고, 도당은 목포 지역위원회 진상 보고서를 토대로 중앙당에 징계청원서를 제출한 뒤 중앙당이 최종 확정한다”며 “목포지역위원회에서는 아무도 보낸 사람이 없다고 하고, 김원이 지역위원장도 나는 모르는 일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중징계 결정이 이뤄졌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오창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