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체, "우리 기술수준 중국 보다 4.6년 앞서"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기사아이콘

윤미연

tame@datanews.co.kr | 2006.02.01 00:00:00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우리 기업들은 아직까지는 중국기업들보다 기술수준에 있어 우위에 있지만 최근 중국업체들의 기술추격이 본격화되면서 그 격차가 좁혀지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300개 제조업체(응답기업 275개사)를 대상으로 '중국의 기술추격과 업계 대응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94.5%는 중국의 동종 경쟁업체에 비해 전반적인 기술수준이 우위에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기술수준이 '대등하거나 열세'라는 경우는 5.5%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기업들은 우리 기술수준이 중국 경쟁업체에 비해 평균 4.6년 앞서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 5.5년 앞서있다고 응답해, 중소기업(4.3년)에 비해 기술격차가 다소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종별로는 조선(5.8년)과 자동차(5.3년) 등의 업종이 기술격차가 큰 반면 전자(3.3년)는 상대적으로 격차가 적었다. 부문별로는 '신제품개발기술' 격차가 5.2년인 반면 '생산기술'은 4.2년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최근 기술발전 속도에 대해서는, 중국 경쟁업체가 상대적으로 더 빠르다는 응답이 86.6%에 달해, 기업들은 중국업체와의 기술격차가 상당히 좁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의 경우 중국업체의 기술발전 속도가 더 빠르다고 응답한 비율이 87.8%로 대기업(82.6%)보다 다소 많았으며, 업종별로는 섬유(97.6%)와 조선(92.1%)에서 이러한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처럼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좁혀지고 있는 이유에 대해, 기업들은 '국내기업의 중국진출 과정에서의 기술유출(34.6%)'을 가장 주된 요인으로 꼽았다. 특히 전자업종의 경우 무려 63.5%가 이 때문이라고 답해 산업보안·기술유출 방지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중국업체의 기술개발 및 선진기술 확보노력(32.4%)', '중국정부의 과학·기술 중심정책 추진(25.8%)' 등이 기술격차가 줄어드는 주된 요인들로 꼽혔고, '국내기업들의 R&D투자 미흡'을 꼽은 경우는 4.7%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기술추격 심화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했다'는 응답은 23.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기업들이 대응방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책마련을 '검토 중'이라는 경우는 40.4%였고, '마땅한 대책이 없다'는 기업도 대책을 마련했다는 경우보다 많은 36.3%에 달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마땅한 대책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43.2%에 달해, 대기업에 비해 중국의 기술추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책을 마련(또는 검토 중)한 기업들이 꼽은 구체적인 대응방안으로는 '자체적인 기술개발 노력'이 69.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핵심기술인력 확보(13.2%)', '기술유출 방지(12.0%)' 등의 순이었다.

한편 중국의 기술추격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과제로 기업들은 '기초연구·원천기술 등 국가차원의 R&D확대(27.3%)', '자금·세제 등 기업지원 확대(27.3%)'를 가장 많이 꼽은 가운데, 대기업은 '기초연구·원천기술 등 국가차원의 R&D확대(34.8%)'를, 중소기업은 '자금·세제 등 기업지원 확대(29.1%)'를 더 필요하다고 답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가격경쟁력이 열세인 상황에서 기술경쟁력마저 중국에 추월당하면 세계시장에서 우리기업이 설 자리가 더욱 좁아지는 셈"이라며, "중국이 턱밑까지 접근하기 전에 핵심기술 확보, 기술유출 방지, R&D투자 확대 등 기업과 정부가 할 수 있는 다각적인 기술경쟁력 강화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련태그
중국  기업  기술  조선  자동차  철강  전자  석유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