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가 80달러(이하 두바이유 기준)를 넘으면 기업들은 조업중단까지도 고려해야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www.korcham.net, 회장 손경식)가 최근 수도권 523개 제조업체(대기업 117개사, 중소기업 406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최근 高유가에 따른 기업영향 및 향후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기업들 중 63.2%가 현재의 원가구조상 "조업을 중단해야할 유가수준"은 '80 달러 이하'라고 응답했다.
'70달러 이하'가 26.6%, '71~80달러'가 36.6%였다. 이밖에 '81~90달러'는 9.2%, '91~100달러'는 19.3%였다. 조업을 중단해야할 유가수준이 '100달러'를 넘는다는 경우는 8.3%에 불과했다.
"유가 100달러 도래 시점"에 대해서는 '올해 또는 내년'이 될 것이라는 응답이 43.8%('금년 중' 10.8%, '내년 중' 33.0%)로 가장 많았으며, "유가 100달러를 촉발할 주된 요인"으로는 '중동 등 산유국의 정정불안(50.9%)'과 '중국 등 신흥개도국의 석유수요 급증(31.3%)' 등을 꼽았다.
한편, 1~4월 중 유가상승에 따른 피해정도와 관련한 채산성 정도에 대해서는 평균 6.7%가 악화된 것으로 집계됐다. 규모별로는 대기업(4.4%)보다 중소기업(7.4%)의 채산성 악화정도가 더 컸으며, 업종별로는 자동차(9.7%)와 석유화학(9.1%) 업종이 기계(4.4%)나 전자통신(6.1%)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기업 채산성이 악화된 데는 올해 들어 국제유가가 배럴당 10달러 정도 상승하면서 원자재·부재료비 등의 제조원가와 물류·운송비, 연료·전력비 등 기업들의 원가부담은 늘어난 반면 이러한 원가상승분이 제품가격에는 거의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고유가 대책 마련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별다른 高유가 대책이 없다'고 밝혔다. '대책을 시행 중(14.3%)'이거나 '대책을 실시할 계획(10.3%)'이라고 밝힌 경우는 24.6%에 불과했으며, 중소기업의 경우 '별다른 대책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81.2%에 달해 대기업(54.7%)에 비해 대책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 국제유가가 고공행진을 지속하면서 이미 심리적으로는 초고유가 시대에 접어든 상황"이라며, "안정적 원자재 확보와 함께 에너지효율 등 원가구조 개선을 통해 기업들도 유가 100달러 시대에 대비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