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뉴스 박기영 기자] 1961년부터 55년간 재계를 대표해온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해체 위기를 맞고 있다. 6일 최순실게이트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 특위 1차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한 재계 오너들이 전경련 탈퇴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다.
특히 전경련에 매년 가장 많은 회비를 납부하고 있는 삼성을 비롯해 SK그룹까지 탈퇴할 뜻을 내비치면서, 전경련이 정경유착의 고리를 끝어내지 못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운명에 처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전경련 탈퇴’ 릴레이에 스타트를 끊은 것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다.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전국경제인연합회 해체에 대한 질문에 이 부회장은 "앞으로 전경련 활동을 안하겠다"고 말했다. 이후 하태경 의원이 “전경련 기부금을 중단해 달라”는 말에 “그렇게 하겠다”라고 확답했다.
이어 최태원 SK그룹회장도 “전경련에서 탈퇴하겠다”고 말했고, 구본무 LG그룹 회장이 탈퇴의사를 밝히면서 주요 회원사 3곳은 사실상 탈퇴를 공식화한 셈이다. 여기에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도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전경련을 탈퇴할)의사는 있다”라고 대답했다.
전경련이 예산 대부분을 소수 대기업 회비에 의존하는 구조로 연간 600여 회원사로부터 회비 400억원 수준이다. 이를 삼성그룹이 100억원, 현대차그룹, SK그룹, LG그룹 등이 50억원 수준의 회비를 납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회원사가 모두 탈퇴입장을 밝힌 것이다. 업계에서는 사실상 해체수순을 밟을 것이라고 예상이 나온다.
전경련은 이 부회장의 조부이자 삼성 창업주인 고 이병철 전 삼성 회장이 지난 1961년 창립회장을 맡은 단체로, 지난 55년간 ‘재계의 대표자’ 역할을 수행해왔다. 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 구자경 LG그룹 회장, 고 최종현 SK그룹 회장, 고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 조석래 효성그룹 회장 등 재계 총수들이 역대 회장을 맡아왔다.
야당 의원들이 ‘전경련 해체’를 요구하고 나온 근거는 전경련이 과거 정경유착의 창구로 사용되는 일이 빈번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지난 1988년 5공 청문회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일해재단 자금을 주도적으로 모금해 사회적인 파장을 일으켰다. 1995년에는 재벌 총수들이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의 대선 비자금을 제공한 것이 드러나 법적 처벌을 받았다. 이에 전경련은 “음성적 정치자금을 내지 않겠다”며 대국민 사과성명을 발표했다.
또, 1997년 15대 대선 때 이석희 국세청 차장 등이 23개 대기업에서 166억원의 불법 대선자금을 모금한 세풍사건에 이어 ‘차떼기’사건으로 유명한 2002년 불법대선자금 사건이 있다.
올해에도 전경련은 논란을 피하지 못했다. 친정부 성향 보수단체인 어버이연합에 자금 지원을 했고, 대통령 비선 실세와 청와대 개입 의혹이 제기된 미르 및 케이스포츠 재단 설립에 400억원이 넘는 돈을 출연해 정점을 찍었다.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