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유한양행의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 회사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작년 말 기준 7.1%에 이어 올 1분기 6.9%를 기록했다.
국내 매출 기준 상위 5개 제약사의 매출 대비 평균 연구개발비중은 작년 말 기준 평균 10.1%, 1분기 기준 평균 10.6%다. 유한양행은 업계 평균에도 크게 미치지 못했다.
유한양행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용은 이정희 유한양행 사장 선임년도인 2015년 726억 원 6.4%에서 2016년 865억 원 6.5%, 2017년 1037억 원 7.1%을 기록했다. 소폭 증가한 양상이나 매출 증가세와 업계 평균에 비해서는 턱없이 부족한 투자라는 분석이다.
유한양행의 매출은 2015년 1조1287억 원에서 2017년 1조4622억 원으로 29.5% 증가하며 업계 1위를 기록했다. 반면
연구개발비용은 2017년 68억5000만 원을 쓴 광동제약에 이어 상위 5개사 가운데 4위다. 연구개발 비중 순위는 한미약품, 대웅제약, 녹십자, 유한양행, 광동제약 순이다.
2위 녹십자의 경우 2017년 R&D 비용은 전체 매출 1조2879억 원 중 1166억 원으로 10.6%였고, 4위 대웅제약은 총 매출 9603억 원 중 1143억 원을 연구개발비용으로 지출해 비중 13.2%, 5위 한미약품은 총 매출 9166억 원 중 연구개발비용이 1706억 원으로, 18.6%를 기록했다. 매출 4위 광동제약은 총 매출 1조1416억 원 중 별도매출 기준 연구개발비용은 68억5000만 원으로 가장 적었다.
매출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중이 낮은 유한양행은 상품매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상품매출은 외국계 제약사가 만든 약을 도입해 판매한 매출로, 일명 ‘남의 약'을 팔아 얻는 수익이다.
올 1분기 유한양행의 상품매출액은 1990억 원으로, 총매출 3398억 원 대비 비중이 58.6%인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 상위 5위 기업 중 상품매출 비중 65.1%인 광동제약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녹십자의 상품매출액은 1444억 원으로 총매출 2941억 원 대비 비중은 49.1%다. 광동제약은 총매출 2752억 원 중 상품매출액은 1792억 원으로 비중은 65.1%로 가장 높다. 대웅제약은 총매출 2394억 원 중 상품매출액은 965억 원으로 40.3%다. 한미약품은 상품매출액이 189억 원으로 매출대비 7.7%로 가장 양호했다.
2017년 연간 기준으로도 유한양행의 상품매출액 비중은 54.5%로 광동제약이 69.4%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상품매출액 비중은 광동제약 69.4%, 유한양행 54.5%, 녹십자 45.5%, 대웅제약 40.9%, 한미약품 9.8% 순이다.
anna@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