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이 1402년 세계 최초로 아프리카까지 그린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족자 형태로 시판

아프리카 지도는 세계에서 누가 가장 먼저 그렸을까?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1402년 조선이 그렸다면 믿을 수 있을까? 조선은 당시 이미 미국과 남아메리가를 제외한 세계를 다 파악하고 있었다. 아프리카 희망봉은 물론 유럽 전체를 환히 알고 있었다.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壹疆理歷代國都之圖:강리도). 강리도(疆理圖)는 조선 태종(太宗) 2년(1402년)에 제작된 세계지도다. 지도 이름은 역대 나라의 수도를 표기한 지도라는 뜻이다. 태종 2년(1402년) 5월에 문신 이회가 자신이 직접 그린 《조선팔도도》(朝鮮八道圖)를 태종에게 바쳤고, 이로부터 석 달 뒤 의정부좌정승 김사형과 우정승 이무, 검상(檢詳) 이회 등이 주도해 제작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완성됐다

원본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일본에 필사본 2점이 보관돼 있다. 이 지도는 20세기 초 일본 교토에서 재발견된 이래로 줄곧 세계 학계의 찬탄과 탐구의 대상이 돼 왔다. 언어와 국가를 달리하는 집단 지성의 강리도 탐구가 지구촌에서 오래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정작 지도의 모국 대한민국은 외딴섬처럼 고요하기만 하다. 

고요를 깨뜨린 강리도를 알리는 이 책 『1402 강리도: 아프리카를 최초로 그린 세계지도의 탄생( 김선흥 지음)』는 지리학자가 아닌 한 외교관(前)이 지난 17년 동안 지도를 탐사해온 사람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이에 앞서 고 이찬 교수(전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1923~2003)는 1983년 일본에서 강리도를 발견, 필사해와 세상에 알리는 작업을 했다. 김씨는 이 전 교수의 업적과 의미를 책으로 담았다.

“오늘날 세계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세계지도가 1402년 음력 8월 어느 날 조선에서 나왔다. 이 지도에 대해 많은 사람이 많은 이야기를 하지만, 아무도 언급하지 않는 것들을 나는 더러 발견하였고 그때마다 놀란 눈을 크게 떴다. 골방과 산속의 고요한 새벽에 나는 까닭 모를 지도의 매력과 고혹적인 수수께끼에 사로잡힌 채 탄식을 삼키고 우두망찰했으며 환호성을 터뜨리기도 했다. 이 지도를 찬탄하는 외국의 사례와 자료를 찾아 눈 비비며 읽어가면서 선조님들께 한없이 감사했고 나의 방랑이 헛되지 않았음에 적이 안도했다. 지도는 누구나 볼 수 있는 시각 자료이기 때문에 권위가 아니라 지도 자체가 진실을 말해 주리라는 생각으로 이 글을 썼다. 강리도 이야기를 들어줄 미래의 초롱 눈망울들을 떠올리며 나는 골방에 턱을 괸 채 그리움을 오래 키웠다.”(본문 중에서)
 
태종은 집권하자마자 신규 프로젝트에 착수한다. 군왕의 상왕은 천명으로 왕조 개창의 정당성을 위해 우선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제작했다. 찬위의 잡음을 제거하고 등극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싶었을 것이다. 아버지가 하늘을, 그리고 아들이 땅을 그렸다. 그런데 왜 하늘과 땅을 그렸을까? 조선왕조는 왕권 강화와 국가 통치의 필요성으로 인해 수많은 천문도와 지도가 제작됐다. 그런 와중에 태종 2년에 제작된 것이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다. 

강리도는 4개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 지도제목 부분, 둘째 역대제왕국도 부분, 셋째 지도 부분, 넷째 발문 부분이 그것이다.

강리도는 위대한 작품이다.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이 지도가 어떻게 세계 속에서 화려하게 부활하게 됐는지 그 극적인 자취를 찾아내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렇게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동서양의 지도 중에서 최초로 아프리카를 그린 유일한 지도라는, 그 단순하고도 놀라운 사실이 지니는 세계사적 의미를 왜 우리는 주목하지 않는가? 중국 너머의 중동, 유럽, 아프리카를 최초로 그린 지도를 ‘중화주의’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 왜 회의하지 않는가?”

<강리도>는 세계 학계에 알려진 지 10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수수께끼로 가득 차 있으며 특히 중국 너머의 서방세계는 그림과 한자로 엮어진 암호문서와 다를 바 없다.

이 책은 <강리도>를 15세기 혹은 중세의 구글어스로 제시한다. 이 지도에서 저자는 독일, 파리, 다뉴브강, 나일강, 남아공의 오렌지강, 요단강과 예루살렘, 달의 산과 알프스산, 베니치아, 이베리아 반도의 많은 도시들, 심지어 호카곶( Roca Cabo/Rock Cape, 포르투갈의 최서단이자 유라시아 대륙의 최서단), 아프리카의 여러 도시들, 사라져 버린 오아시스 도시들, 알렉산드리아 등대를 비롯한 천하의 명승고적 등 믿기 힘든 것들을 찾아내 보여주고 그 의미를 탐사한다. 누구나 볼 수 있다.

저자는 외교관(외무고시 14회) 생활을 오래 했다. 2005년 중국 샹하이에서 근무하던 중 우연히 강리도와 만났다. 그 후 지도의 바다를 항해했고 국내외에서 강리도 전도사 역할을 자임했다. 두 해 동안 인터넷 매체에 《지도와 인간사》라는 제목으로 <강리도>에 대해 연재한 바 있다. 영어, 중국어, 일어를 약간 이해할 수 있어 책을 쓰는 데 큰 도움이 됐다. 기억력이 아직 남아 있을 때 영문 강리도 책을 세상에 내놓겠다는 생각을 품고 있다. 이뤄지지 않으리라 여기면서 ‘강리도 도서관’을 꿈꾸고 있다.

현재 강리도 소장처는 류코쿠대학(龍谷大学:1480년대 제작 추정), 교토대학(京都大学:류코쿠대학 소장본의 필사본), 텐리대학(天理大学:대명국도,강리도와 같은 계열), 혼코지(本光寺:에도시대 제작된 필사본), 혼묘지(本妙寺:대명국지도,강리도와 같은 계열).

현재 서울대 규장각에 소장 중인 강리도는 고 이찬 교수 작품이다.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셨던 그는 1968년 일본 교토의 류코쿠대학 도서관에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의 필사본을 보는 순간 직감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도라는 것을 알았다.

이 교수는 이와 똑같은 형태의 필사본을 제작하려고 했지만, 당시 류코쿠대학 측에서는 이 지도의 사진 촬영조차도 허가하지 않았다. 결국 이 교수는 인맥을 총동원한 끝에 간신히 류코쿠대학이 보관하고 있던 거의 완전한 실물 사진을 입수하는 데 성공했고, 이 사진을 초상화 전문가에게 보여주고 초상화를 그리듯 지도를 모사하게 했다. 그렇게 형체가 완성된 지도 위 빽빽하게 적힌 글씨들은 서예가의 도움을 받아 지명 하나하나를 옥편에서 찾아가며 확인 가능한 글씨들을 지도 위로 옮겼다. 그리고 마침내 15년 만인 1983년에 모사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완성될 수 있었다.

현존 강리도는 모두 필사본이다. 1402년에 제작된 원본은 존재하지 않는다. 국내에는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 1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1점 등이 있다.

2024년 1월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새롭게 등장했다. 성균관 이경우 대표가 그 작업을 했다. 한국학의 글로벌화를 추진 중인 그는 “이 지도의 역사적 가치와 정체성을 알려기 위해서 두루마리 또는 족자 형태로 제작, 판매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지도는 4종류로 크기와 형태에 따라 10만~30만 원이다. 

오창규 기자 chang@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