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에서 평생 고객으로"…카드사, 청소년 잡기 나섰다

청소년들의 카드 사용 일상화 발맞춰 청소년 체크카드·신용카드 출시…"장기적인 미래 고객 확보 기대"


카드사들이 청소년 고객 확보에 적극성을 보인다. 청소년들이 카드 사용을 일상화하면서 장기적인 미래 고객을 잡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5일 데이터뉴스가 NH농협은행의 NH트렌트+보고서 '그 많던 용돈은 어디로 갔을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중고등학생들의 연간 체크카드 결제 금액은 평균 175만 원으로 집계됐다. 매달 약 15만 원 꼴로 2020년보다 30% 가량 증가했다.

연간 사용일수도 107일에서 130일로 늘었으며, 일 2회 이상 사용 고객 비중도 18%에서 29%로 11%p 상승했다.

이와 같이 청소년들의 카드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카드사들은 청소년 전용카드를 출시하며 고객 모집에 나서고 있다. 

단순히 청소년 고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미래 고객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성인이 되기 전 첫 금융 경험을 어느 브랜드에서 하느냐에 따라 평생 고객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신한 처음 체크카드(왼쪽), KB 틴업 체크카드 / 사진=신한카드, 국민카드


국민카드와 신한카드는 캐릭터를 앞세운 청소년 체크카드를 내놨다.

특히 국민카드가 올해 5월 내놓은 'KB 틴업 체크카드'는 하츄핑, 초롱핑, 왕자핑, 빛나핑, 반짝핑, 황금 하츄핑 등 SAMG엔터의 인기 IP인 '캐치! 티니핑' 캐릭터를 활용한 랜덤 디자인을 앞세워 발급 수를 빠르게 늘렸다. 

KB 틴업 체크카드는 출시 한 달여 만인 지난 7월 4일 기준으로 발매 10만 장을 돌파했다. 이 상품은 만 12~15세 고객에 전월실적이 없어도 편의점(CU, 세븐일레븐), 쇼핑(다이소, 올리브영, KB 페이 쇼핑), 스터디(독서실업종) 등에서 할인을 제공한다.

신한카드는 이달 초 10대 특화 금융상품 신한카드 처음 체크를 출시했다. 네이버웹툰 '냐한남자'의 캐릭터 '춘배'를 활용한 굿즈 컨셉 플레이트와 메탈 플레이트 느낌의 실버 등 2종으로 구성됐다.

▲(왼쪽부터)삼성카드 아이디 포켓 카드, 우리카드 카드의 정석 에브리 포인트 가족 신용카드, 현대카드 틴즈 / 사진=삼성카드, 우리카드, 현대카드


부모가 사용 한도를 제한해 자녀의 소비를 관리할 수 있는 청소년 신용카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교통, 문구, 서점, 편의점, 학원 등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이용하는 업종을 가능 업종으로 제한한 것이 특징이다. 연회비는 1000~2000원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다.

청소년 신용카드 상품으로는 삼성카드의 '아이디 포켓(ID POCKET) 카드', 우리카드의 '카드의정석 에브리 포인트(EVERY POINT) 가족 신용카드', 현대카드의 '현대카드 틴즈'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최근에 출시된 현대카드 틴즈는 전월 이용 금액이 10만 원을 넘는다면 편의점, 카페, 패스트푸드, 대중교통 등 청소년이 자주 이용하는 4개 영역에 대해 2%의 할인을 제공하고 있다. 

이윤혜 기자 dbspvpt@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