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완수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이사장이 27일 서울 중구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제로페이 2.0’ 추진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한국간편결제진흥원
비대면 스마트 결제 인프라 ‘제로페이’가 ‘소상공인 중심의 디지털 혁신’과 ‘디지털정부’를 지원하는 ‘제로페이 2.0’으로 고도화한다.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은 27일 서울 중구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소상공인 중심의 디지털 혁신, 정책자금 플랫폼 등을 골자로 한 디지털정부 지원을 제로페이 2.0의 핵심 추진과제로 채택하고, ‘제로페이 로드’ 디지털 고도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2018년 선보인 제로페이는 소비자가 매장 QR코드를 인식해 결제하면 소비자 계좌에서 가맹점 계좌로 금액이 이체되는 비대면 스마트 결제방식의 인프라다. 그 동안 ▲직불 제로페이 ▲모바일 상품권 ▲법인 제로페이 ▲해외 제로페이 ▲후불 제로페이(예정) ▲온라인 제로페이(예정) 등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춰온 결과, 4월 현재 85만 개 전국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다. 제로페이를 통한 누적거래도 5200만 건을 넘어 의미 있는 결제수단으로 자리잡았다.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은 올해 말 가맹점이 120만 개까지 늘어나고 내년 말이면 최대 200만 개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제로페이 2.0은 인프라를 효과적이고 선진적으로 운영하는데 방점이 찍혔다.
윤완수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이사장은 “제로페이 1.0이 가맹점 인프라를 완성하는 단계였다면, 제로페이 2.0은 그 인프라를 활용하는 단계”라며 “국가 산업 디지털화를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로페이 2.0 사업 추진은 소상공인 디지털 혁신과 디지털정부의 2가지 방향으로 진행된다.
소상공인 디지털 혁신은 모바일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빅데이터 플랫폼, 소상공인 상생플랫폼을 근간으로 한다. 디지털정부는 비대면 바우처, 디지털 정책자금 플랫폼, QR체크인이 핵심 과제다.
제로페이 2.0 사업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 중 하나는 ‘차세대 디지털 플랫폼’으로, 분산돼 있던 시스템을 통합하고, 직접 운영하는 것이 골자다. 또 수백만 가맹점, 지자체 데이터를 통해 ‘소상공인 빅데이터 센터’를 운영한다. 이를 토대로 현실성 있는 소상공인 지원정책을 마련, 추진하게 된다.
특히 가맹점주용 어드민 계정의 경우 결제내역은 물론 매출, 세금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하고, 핀테크 금융 서비스와 연계해 가맹점주 통합 플랫폼으로 확장시킬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소상공인도 데이터 중심의 전략 수립과 시스템 경영을 할 수 있게 된다.
최근 코로나19와 관련한 다양한 정부 정책자금 지원과정에서 제로페이는 저비용으로 신속하고 성공적으로 자금을 지원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간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교육청 입학준비금, 서울형 착한임대인 지원사업 등 복지전달체계에도 제로페이가 참여했다.
농·축·수산물 구매 시 구매금액의 일정 비율을 페이백 형태로 지급하는 제로페이 소비쿠폰도 소비자와 농가의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어업민들과 국민 지원을 위해 313억 원의 예산을 들여 진행하는 대한민국 수산대전도 제로페이와 함께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도 25개 자치구와 교육청, 그리고 제로페이와 협력을 통해 서울 관내 중·고교, 특수·각종 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에게 입학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은 코로나 시대, 취약계층 등에 지급하는 복지 정책자금을 제로페이 2.0을 통해 지급하면 목적에 맞는 소비가 가능해지고, 별도 상품권 발행절차가 없어 소상공인의 신속한 매출 회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완수 이사장은 “제로페이 2.0의 미션은 ‘세계 최고의 간편결제 인프라 구축’”이라며 “이를 위해 가맹점 집중, 소상공인 이익 지향, 자율적인 사업 참여 등의 원칙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동식 기자 lavita@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