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석 삼성물산 주택본부장이 23일 래미안갤러리에서 진행된 간담회에서 '넥스트 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래미안이 삼성물산 건설 부문의 새 비전 아래 더 큰 도약을 준비한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은 23일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주택문화관 래미안갤러리에서 '래미안, The Next'를 주제로 '고객 맞춤형 공간 변화'와 '차별화된 주거 경험'을 새로운 방향성으로 하는 '넥스트 홈'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김상국 삼성물산 건축주택사업부장(부사장)은 오프닝 스피치를 통해 "래미안 런칭 이후 대한민국의 다양한 주거문화를 선도했고 새로운 역사를 저희가 열었다"며 "삼성물산은 영역에 한계가 없는 차세대 솔루션으로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삼성물산이 미래의 주거 모델로 제시한 넥스트 홈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넥스트 라멘 구조와 인필 시스템을 통해 거주자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주거공간을 자유롭게 디자인하고 변화할 수 있게 한 것이 핵심이다.
김명석 삼성물산 주택본부장(부사장)은 "고객 저마다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공간 맞춤이 가능한 집, 삶의 변화에 따라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있는 집의 진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고객은 집의 다양한 역할을 기대하는 만큼 집에서 누릴 수 있는 경험에 대해서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삼성물산이 제안한 넥스트 라멘 구조는 집 내부 공간을 거주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평면이다. 수직 기둥에 수평 부재인 보를 더한 라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세대 내부 기둥은 없앤 무결점의 무주 형태의 새로운 구조를 개발해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세대 외부로 돌출되는 기둥과 보를 활용해 외관 디자인을 차별화하고 외단열 시스템과 일체형 태양광 패널 등을 설치해 에너지 효율을 높인 미래형 주택을 선보인다.
인필 시스템은 넥스트 라멘 구조로 구현된 구조체에 사전 제작한 모듈을 서랍처럼 채워넣는 것을 의미한다. 욕실, 바닥, 벽체, 가구의 인필 시스템을 갖췄으며, 서로 유기적으로 구성해 이동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간의 가변성을 확보했다.
조립형 모듈방식 건식 바닥과 벽체를 개발해 바닥이나 벽을 손쉽게 해체하고 재활용하거나 재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기반으로 층간소음 해결에도 나선다.
김명석 부사장은 “스프링이 삽입된 모듈형 건식 바닥 시스템을 개발했고, 층간 소음 성능이 10데시벨 이상 저감될 수 있음을 인증받았다”며 “공간의 가변성, 높이뿐만 아니라 바닥 충격음을 더 저감해주는 성능이 확보돼 층간 소음 개선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구 자체가 하나의 벽이 되는 자립식 가구를 설치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욕실은 공장에서 사전 제작해 설치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세대 공간 내에서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한 것이 차별화 포인트다.
넥스트 라멘 구조 및 인필 시스템은 단계적으로 프로젝트에 적용될 예정이다. 특히 고층으로 시공 예정인 여의도, 성수, 압구정 등 초고층 프로젝트에 해당 제품들을 제안하고 적용해 주택 시장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홈닉체험 부스에서 앱을 체험하고 있다. / 사진=삼성물산 건설부문
삼성물산은 다양한 주거문화와 서비스를 아우르는 차세대 홈플랫폼 ‘홈닉’도 출시한다.
조혜정 삼성물산 라이프스타일본부장(상무)은 “홈과 테크닉, 유니크가 결합한 홈닉은 앞선 기술을 통해 차별적 삶을 경험하게 하고, 나만의 특별한 라이프 스타일을 완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홈닉은 홈그라운드와 라이프인사이드로 구성된 하나의 앱을 통해 구현된다. 연결, 공존, 새로운 경험, 프리미엄 등 4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한다.
조 상무는 “디지털 서비스가 파편화돼 있던 것이 사실”이라며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커뮤니티 센터 등 예약, 차량 등록 등 서비스를 하나의 앱으로 통합할 수 있는게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삼성물산은 이날 도시정비 사업에 대한 의지도 밝혔다.
김명석 부사장은 “최근 서울시에서 조례 개정을 통해 많은 물량이 일시에 나오게 되고 많은 랜드마크 물량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삼성물산도 적극 참여할 예정이고 그 일환으로 상품을 내놓는 등 미래를 준비하는 부분들이 연결돼 있다”고 말했다.
이윤혜 기자 dbspvpt@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