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올티에스 “AI 에이전트 기반 서비스 혁신 선도”

애자일소다와 ‘엔터프라이즈 AI 플랫폼 최적화 전략’ 공개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다올티에스 “AI 에이전트 기반의 서비스 혁신 선도”

▲장윤찬 다올티에스 부사장이 16일 ‘다올TS 미디어데이’에서 엔터프라이즈 AI 플랫폼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데이터뉴스


다올티에스가 16일 서울 역삼동 본사에서 ‘다올TS 미디어데이’를 개최하고, 기업용 인공지능(AI) 플랫폼 전략과 자사 에이전트형 AI 서비스의 최신 기술을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다올TS의 홍정화 대표와 장윤찬 부사장, 파트너사 애자일소다의 최대우 대표와 임은희 상무가 참석했다.

다올TS는 발표를 통해 “AI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목표 지향적 자율 에이전트로 진화하고 있다”고 밝히며, 급변하는 AI 생태계 속에서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트렌드를 제시했다. 

특히 모든 소프트웨어가 AI 중심으로 재작성되는 흐름 속에서 소프트웨어(SW) 개발 및 연구개발(R&D) 분야를 중심으로 생성형 AI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또 기존의 챗봇을 넘어선 에이전트형 AI가 실제 기업 업무에 적용되며 조직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올TS는 자사의 AI 팩토리 PoC 센터를 통해 ▲AI 인프라 최적화 ▲대규모언어모델(LLM) 시뮬레이션 ▲데이터 전처리 기술 등을 테스트 및 검증하고 있으며, 고객 맞춤형 AI 도입을 위한 실질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날 다올TS는 자사의 AI 통합 어플라이언스 브랜드 ‘다올 퓨전(Daol Fusion)’를 중심으로 기술·경험·사업의 세 가지 축에 기반한 플랫폼 확산 전략을 함께 발표했다. 

기술 측면에서는 산업별 독립SW벤더(ISV)와의 협업 사례를, 경험 측면에서는 공동 마케팅과 파트너 네트워크를, 사업 측면에서는 통합형 플랫폼 기반의 고객 맞춤 확산 모델을 주요 전략으로 제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애자일소다의 대표 서비스 ‘저스트 타입(JUST TYPE)’도 함께 소개됐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가 프롬프트만 입력하면, AI가 목표 기반 문제 해결을 수행하는 에이전트 기반 서비스이다.

저스트 타입은 MLOps, LLMOps, 에이전틱(Agentic) RAG, ETL 위드(with) LLM 등 고도화된 기술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보험·금융·제조·공공 부문에서 200건 이상의 프로젝트 수행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저스트 타입이 제공하는 ETL 위드 LLM은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AI가 자동 전처리하는 기능으로, 데이터 활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챗SAM(RAG + GenAI)은 문서 요약, 질의응답, 문맥 기반의 질의 이해가 가능한 대화형 AI 서비스다. 이 솔루션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다수의 공공기관 및 기업에 적용됐다.

홍정화 다올TS 대표는 “기업들이 AI를 실전 환경에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 인프라, 전문인력을 아우르는 지원 체계를 계속 강화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AI 에이전트 기반의 서비스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강동식 기자 lavita@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