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난테크놀로지 컨소시엄, ‘독자AI’ 사업 참여

21일 사업계획서 제출…8개 기관 참여, K-AI 추진 위한 전문가팀 구성

  • 카카오공유 
  • 메타공유 
  • X공유 
  • 네이버밴드 공유 
  •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목록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코난테크놀로지 컨소시엄, ‘독자AI’ 사업 참여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코난테크놀로지(대표 김영섬)는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계획서 제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코난테크놀로지가 주관하는 컨소시엄에는 사이냅소프트, 알체라, 페블러스 등 3개 AI 전문 중소기업과 고려대, 연세대, 포항공대(POSTECH),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4개 대학이 참여한다.

김영섬 코난테크놀로지 대표는 “이번 정부의 인사 정책에서도 중시되는 실무 역량을 중심으로 팀을 꾸렸다”고 소개했다. 

컨소시엄 참여기업은 실제 파운데이션 모델을 직접 개발한 현장 적용 경험과 추진 역량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

또 4개 대학 연구실에서 12명의 AI 전공 교수가 참여한다. 참여 교수진은 모두 국가AI연구거점 프로젝트(총괄책임자 김기응 교수)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KAIST가 주관연구기관, 고려대, 연세대, 포항공대는 공동연구기관이다. 

참여 교수진이 최근 5년 간 발표한 논문 중 AI 분야 SCI 논문이 180건 이상, 톱 AI 컨퍼런스에서는 210건 이상에 이를 만큼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에서 이론적 기반이 탄탄하다. 

제출한 과제명은 ‘제조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및 학습 효율화 기술 개발’이다. 코난테크놀로지 컨소시엄은 제조업 AX 플랫폼을 산업단지를 주축으로 확산시키고, 학교 AI 플랫폼을 통해 전국 초·중·고로 AI 접근성을 증진하는 한편, 동남아 국가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소버린 AI의 해외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AI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로 이어질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영섬 대표는 “과기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 추진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K-AI에 선정된다면 대한민국이 세계 3대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일조할 수 있도록 사명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말했다.

코난테크놀로지는 사업 참여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2023년 8월 이후 SOTA급 추론통합모델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왔으며, 2년 이상 136장의 H100 GPU 클러스터를 활용한 대규모 학습·추론 경험과 250억 건에 이르는 한국어 데이터 처리 역량 등에서 차별화된 실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또 코난 LLM은 한국남부발전, 한림대의료원 등에 구축이 완료됐으며, 최근에는 경기도청과 대법원 등 주요 기관에도 수주가 확정됐다. 20여 건에 달하는 업계 최고 수준의 LLM 사업 수행 경험 또한 이번 프로젝트 참여에 대한 자신감을 뒷받침하고 있다.

한편, 코난테크놀로지는 최근 ‘Konan-LLM-OND’ 모델을 허깅페이스에 공개했다. 이 모델은 한국어 어휘 확장, 추가 사전학습, 지시형 튜닝을 통해 토큰 효율성을 약 30% 개선했다.

강동식 기자 lavita@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