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카카오 대표(왼쪽)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4일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카카오
카카오가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것은 국내에서 카카오가 처음이다.
카카오(대표 정신아)는 4일 오픈AI와 전략적 제휴 체결에 대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진행된 이번 간담회에는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해 두 기업의 협력 방향성을 공유했다.
카카오와 오픈AI는 더 많은 이용자들이 AI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춰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 ▲공동 상품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정 대표는 이날 오픈AI와 제휴 배경에 대해 “오랜 기간 국민 다수의 일상을 함께 하며 축적해 온 역량을 바탕으로 ‘이용자를 가장 잘 이해하는 개인화된 AI’를 선보이는 것이 지금 시대 카카오의 역할일 것”이라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오픈AI와 협력해 혁신적 고객경험을 제공함으로써 AI 서비스의 대중화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카카오와 오픈AI는 지난해 9월부터 ‘AI 서비스 대중화’라는 동일한 목표 아래 기술과 서비스, 사업 등 다양한 범위에서 협력방안을 논의해 왔다.
그 결과, 우선 카카오톡, 카나나(Kanana) 등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에 오픈AI의 최신 AI 기술 API를 활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AI 네이티브 컴퍼니(AI native company)’로의 전환을 가속하고자 챗GPT 엔터프라이즈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카카오는 이번 협력을 통해 AI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강화하게 된다. 지난해 10월 개발자 컨퍼런스 if(kakaoAI)에서 처음 공개한 이 전략은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AI 모델뿐 아니라 외부의 우수한 API를 적재적소에 활용해 이용자들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같은 방향성 아래 카카오는 현재 개발 중인 카나나 서비스에 자체 언어모델과 더불어 오픈AI의 모델도 함께 활용하기로 했다. 카나나는 일대일 대화뿐 아니라 그룹대화에서도 맥락을 이해한 답변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관계 형성 및 강화를 돕는 AI 에이전트 서비스다. 오픈AI의 기술로 이를 더욱 고도화해 이용자에게 최고 수준의 AI 경험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두 기업은 기술 협력을 넘어 공동 상품 개발도 추진한다. 한국 이용자를 이해하는 카카오와 글로벌 AI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오픈AI의 협업은 국내 시장에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해 AI 서비스 대중화를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날 간담회에서는 두 기업의 전략적 제휴 발표와 함께 두 대표의 대담도 진행됐다.
샘 올트먼 CEO는 “카카오는 기술이 일상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방식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고 있으며, 이용자들에게 혁신적인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왔다”며 “우리는 카카오의 수많은 이용자들에게 첨단 AI를 제공하고, 이 기술을 카카오의 서비스에 통합해 카카오 이용자들의 소통과 연결 방식을 혁신하는 데 협력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정신아 대표는 "글로벌 AI 기술을 선도하는 오픈AI와의 전략적 협업에 기대가 크다”며 “이번 제휴는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의 고도화는 물론, 필요한 미래를 더 가깝게 만들려는 카카오의 노력에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지 기자 honest@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