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는 40대 가구주 61.0%가 선택한 주거형태로 나타났다.
29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2017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 11월 기준 우리나라 총 주택 수는 1712만 호였다. 2016년 1669만 호였던 주택이 43만 호(2.6%) 증가한 것이다.
주택 유형의 비중에도 변화가 있었다. 아파트는 2016년 1003만 호였던 것이 1038만 호로 증가했다. 주택에서 차지하는 아파트의 비율 또한 60.1%에서 60.6%로 0.5%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단독주택은 2016년 396만 8000호에서 396만 3000호로 줄었다. 비율 또한 23.8%에서 23.1%로 0.7%포인트 감소했다.
2000년부터 연도별 주택 유형 추이를 살펴보면, 아파트 비율은 늘고 단독주택 비율은 줄어드는 추세다. 2000년 47.8%였던 아파트 비율이 2017년 60.6%로 12.8%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2000년 37.2%였던 단독주택 비율은 2017년 23.1%로 14.1%포인트 감소했다.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