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진성 헌법재판관, 손경식 CJ그룹 대표이사
[데이터뉴스 = 안신혜 기자] 대한민국 파워엘리트 집단 중 대표 학벌로 손꼽히는 ‘경기고·서울대 법학과’ 동문은 과연 얼마나 될까?
12일 데이터뉴스가 정·관·재계 리더 2420명 중 학력이 공개된 1535명(유효 조사율 63.4%)을 전수 조사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경기고를 거쳐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한 인사는 총 25명이다.
분야별로 정계에 3명, 관계에 9명, 그리고 재계에 13명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의원 300명, 지방자치단체장 245명을 조사한 정계의 경우, 새누리당의 이주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의 진영 의원·국민의당 이상돈 의원 등 3명이 이름을 올렸다. 반면, 지방자치단체장 중에서는 한 명도 없었다.
이중 서울대 71학번으로 고교·대학 동창인 이주영·이상돈 의원은 출신 지역 또한 영남으로 같아 대한민국 파워 엘리트 집단의 전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차관급 이상 공무원 373명 중 308명을 조사한 관계의 경우, 모두 9명이 경기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한 것으로 조사됐다. 직급별로 장관급 공무원은 4명, 차관급 공무원이 5명이었다.
특히 관계 인사 9명 중 5명이 서울대 법학과 77학번으로 이들의 영향력이 다른 어느 집단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장관급 공무원은 김용덕·박상옥 대법관, 이진성 헌법재판관, 최성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다.
차관급 공무원은 김동오 인천지방법원장, 김학현 공정거래위원회 부위원장, 유남석 광주고등법원장, 최동규 특허청장, 호문혁 사법정책연구원장이다.
마지막으로 재계의 경우 30대 그룹 사외이사 분야에서 경기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한 인사들이 많이 포진돼 있었다.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