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표] 5대 만성질병 및 의사진단 유병률(55~59세)

복지부의 결과, 고혈압 유병률(인구1,000명당 비율)이 전체 181.3%, 남자 175.2%, 여자 186.8%로 5대 만성질병 중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 2006.04.12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주요 사망원인별 사망률

통계청이 2005년 발표한 뇌혈관 질환의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남자 66.7명, 여자 73.9명으로 나타나고 있어 암에 이어 한국인의 고질적 사망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 2006.04.12 00:00
대표이미지

[표] 성별·연령병 뇌졸중 유병률

뇌졸중은 50세 이상이 될 경우 그 유병률(인구1,000명당 비율)이 높아진다. 보건복지부의 에 의하면 50세부터 눈에 띄게 나타나다가 60대에는 그 두배인 44.4%, 70세 이상일 경우 85.5%에 이른다.

- 2006.04.12 00:00
대표이미지

[표] 65세 이상 고령자 사망원인

통계청의 2005년 에 따르면 뇌혈관질환이 65세 이상의 고령자일 때 암에 이어 전체의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여성의 경우 1위를 나타내고 있다.

- 2006.04.12 00:00
대표이미지

직장인 2명중 1명 '슬럼프오면 그만두고 싶다'

직장인들 2명 중 1명은 슬럼프에 빠졌을 때 회사를 그만두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전문기업 코리아리크루트(www.recruit.co.kr, 대표 이정주)가 지난 3일부터 11일까지 직장인 862명을 대상으로 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직장인이 슬럼프에 빠지는 시기"는 '입사 후 3~6개월째(33.6%)'가 가장 많았고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회사를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이…

- 2006.04.12 00:00
대표이미지

서울, '삶의 질' 순위 215곳 중 89위

서울의 '삶의 질'이 세계 215개 도시 중 89위로 평가됐다. 세계적 컨설팅 업체인 머서 휴먼 리소스 컨설팅(MHRC)이 경제와 환경·건강·교육·교통·안전 등의 요소를 중심으로 세계 215개 도시의 삶의 질을 평가한 결과, 우리나라의 서울이 83점으로 89위에 올랐다. 지난 해 90위(81.5점)에 비해 1계단 상승한 것. 한편, 세계에서 삶의 질이 가장 높은 도시는 지난…

- 2006.04.12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직장인 슬럼프 극복방법

채용전문기업 코리아리크루트㈜(www.recruit.co.kr, 대표 이정주)가 지난 3일부터 11일까지 직장인 862명을 대상으로 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직장생활에서 오는 슬럼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취미생활(32.8%)을 가장 많이 이용했다. 그 뒤로 친구나 직장동료와의 대화(25.5%)를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만의 슬럼프 탈출방법 없이 그냥 참는 직장인도 1…

- 2006.04.12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직장인 슬럼프 원인

코리아리크루트(www.recruit.co.kr)가 지난 3일부터 11일까지 직장인 862명을 대상으로 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슬럼프에 빠진 원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25.6%가 업무에 대한 불투명한 비전을 꼽았다. 그에 이어 낮은 연봉 및 복리후생(22.4%), 직장 상사와의 갈등(20.9%), 잦은 야근 및 과도한 업무량(17.3%), 성과에 대한 불만족(11.1%) 등이었다.

- 2006.04.12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직장인 슬럼프 극복 후 업무능률 향상 여부

코리아리크루트(www.recruit.co.kr)가 지난 3일부터 11일까지 직장인 862명을 대상으로 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슬럼프는 업무효율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극복 후에는 업무능률이 이전보다 향상(35.8%)된 것으로 조사됐다.

- 2006.04.12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직장인 슬럼프 증상

채용전문기업 코리아리크루트(www.recruit.co.kr, 대표 이정주)가 지난 3일부터 11일까지 직장인 862명을 대상으로 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나타나는 슬럼프 증상은 '회사를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이 43.9%로 가장 많았다. 그 외의 현상으로 일에 대한 '의욕상실(30.3%)', '업무에 집중이 안됨(19.1%)', '업무성과가 좋지않음(6.1%)' 순이었다.

- 2006.04.12 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