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 환경부 등 정부가 추진 중인 전기 이륜차 보급사업 관련 표준 요건을 갖춘 ‘1호 기업’이 됐다.LG에너지솔루션은 ‘BSS(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전기 이륜차 교환형 배터리 팩’ 부문에서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이 발행하는 KS(국가표준) 공인성적서를 국내 최초로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이 회사는 전기 이륜차 보급 및 확산, 배터리 구독…
기업용 솔루션 공급 및 IT 서비스 컨설팅 전문기업 펜타시스템테크놀러지(대표 장종준)는 부산광역시의 ‘부산형 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축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31일 밝혔다.부산시는 데이터 기반 행정을 강화하고, 지역 데이터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추진했다.공공과 민간에 흩어져 있던 데이터를 수집·통합하고, 데이터 전 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
클린뷰티 스킨케어 전문 브랜드 마리엔메이(MaryMay)는 베트남의 유명 메가 인플루언서 ‘버하린(Ha Linh)’과 동남아시아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쇼피(Shopee) 라이브 방송을 통해 전 수량 완판을 기록하며 베트남 시장에서 다시한번 입지를 다졌다고 31일 밝혔다.SNS(틱톡 기준) 560만 명 이상을 보유한 베트남 인플루언서 버하린은 지난 15일,마리엔메이 첫 협업 라…
세븐일레븐 운영사 코리아세븐이 적자 확대에 이어 재무상태도 급격히 나빠졌다.31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코리아세븐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3분기 영업적자는 528억 원으로 전년 동기(224억 원) 대비 두 배 이상 확대됐다. 같은 기간 매출도 6.3% 감소한 4조596억 원을 기록하며 성장세가 둔화했다.현금 유동성이 나빠지면서 재무건…
국내 보툴리눔 톡신 시장에서 업체 간 희비가 엇갈렸다. 휴젤과 대웅제약은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기록한 반면, 메디톡스는 매출이 줄며 주춤했다.31일 데이터뉴스가휴젤, 대웅제약, 메디톡스 등톡신 3사의 실적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휴젤의 보툴리눔 톡신 ‘보툴렉스’가 지난해 2032억 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20.2% 증가했다.특히 해외 매출이 39.6%…
지난해 게임업계 최고 연봉자는 장현국 전 위메이드 대표다. 게임업계에서 유일하게 100억 원 넘는 연봉을 수령했다.31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국내 매출 상위 10개 게임사의 경영자 보수를 분석한 결과, 장현국 전 위메이드 대표는 지난해 연봉 107억1800만 원을 수령해 1위를 기록했다.지난해 3월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며 보유하고 있던 스톡옵션을…
GS건설이 2014년 부채비율을 낮추는데 애썼으나 여전히 200% 중반의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에 GS건설은 올해도 자산 매각과 수주 확대 등을 통해 적극적인 재무구조 개선에 나선다.2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GS건설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회사의 부채비율은 250.0%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말 262.5%에서 12.5%p…
메리츠증권의 1억 원 이상 고객 수가 작년말 기준 1만4000명을 넘어섰다. 전년에 비해 45% 넘게 늘었다.2023년 11월 장원재 대표 체제 이후 리테일 사업부문을집중 강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31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올라온 메리츠금융지주의 실적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메리츠증권의 지난해 말 자산 1억 원 이상 고객 수가 1만4068명으로 집계됐다. 전…
육아휴직이 저출산 해소 대책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국내 우수 기업들의 육아휴직 사용 현황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1일 데이터뉴스가 2024년 매출(개별 기준) 상위 10개 상장사의 육아휴직 사용률을 분석한 결과, 모수 대상이 다른 SK하이닉스, 현대모비스를 제외한 8개 기업 중 삼성전자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육아휴직 사용률은 당해 출산 이후 1년 이내에…
삼성전자가 지난 28일 ‘웰컴 투 비스포크 AI(Welcome To Bespoke AI)’ 행사를 개최하고 일상을 혁신하는 새로운 인공지능(AI) 가전제품과 서비스를 대거 공개했다고 밝혔다.이 날 문종승 삼성전자 DA사업부 개발팀장은 “삼성전자는 하드웨어 혁신을 넘어 기기간 연결과 AI 기술을 통해 사용자를 이해하고 돌보며 문제를 해결해주는 AI 홈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