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잡서치(koreajobsearch.com)가 2007년4월23일부터 25일까지 직장인 428명을 대상으로 에 대해 설문한 결과, '전문직'이라는 응답이 35.7%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공무원'이 29.9%로 2위에 꼽혔으며, 그 밖에 ▲엔지니어·기술직 12.5% ▲교사·교수 8.6% ▲예술인 5.2% ▲일반사무직 3.6% ▲방송·연예인 1.2% 등의 의견이 있었다.
3월 전국 지가상승률이 4개월째 감소세를 나타내며 2005년9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건설교통부(www.moct.go.kr)가 발표한 에 따르면, 2007년3월 전국 지가상승률이 전월(0.31%)보다 0.03%p 낮은 0.28%였다.
이는 그 동안 주택가격 상승과 뉴타운 등 재개발 및 재건축에 따른 기대감으로 지가상승을 주도했던 서울과 경기의 상승폭이 하락했기…
국내 상장기업 10개사 중 3개사는 외국인이 지분 5% 이상 대량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증권선물거래소(www.krx.co.kr)가 발표한 에 따르면, 외국인이 지분 5% 이상 보유한 상장법인이 올 3월 말 현재 총 497개를 기록, 전체 상장기업 1,598개사의 31.1%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외국인이 지분을 5%이상 대량 보유한 상장사…
증권선물거래소(www.krx.co.kr)가 발표한 에 따르면, 외국인이 지분을 5% 이상 보유한 상장법인이 올 3월 말 현재 ▲유가증권시장 239개사 ▲코스닥시장 258개사로 총 497개를 기록, 전체 상장기업 1,598개사의 31.1%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유목적에 따른 지분 대량보유 외국인 수는 '경영참가'가 △유가증권시장 56명 △코스닥시장 46명이었고, '단순투자…
국내 기업의 해외증권 발행 규모가 크게 감소했다.
증권예탁결제원(www.ksd.or.kr)이 발표한 에 따르면, 2007년1분기 해외증권(주식연계해외채권)을 발행한 국내 기업수는 26개사이며, 그 규모가 약 2억6,390만달러였다.
이는 2005년 동기간에 비해 37.9% 감소한 수치로, 지난해 말 금융감독 당국의 해외증권발행 관련 공시규제강화에 따른 발행시장 위축이…
증권예탁결제원(www.ksd.or.kr)이 발표한 에 따르면, 2007년1분기 해외증권(주식연계해외채권)을 발행한 국내 기업수는 26개사이며, 그 규모가 약 2억6,390만달러였다.
회사별로 살펴보면, '유니슨'이 3,000만달러로 가장 많이 발행했고, 이어 ▲세원셀론텍 2,500만달러 ▲녹십자홀딩스 2,000만달러 ▲케너텍 1,500만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청소년 성범죄자 처벌의 47%가 벌금형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청소년위원회(www.youth.go.kr)가 성범죄자 485명의 신상 및 범죄내용을 공개하며 을 발표했다.
이번 신상공개를 위한 심의대상자는 총 1,106명이었고, 범죄유형은 '성매수'가 53.5%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강제추행(31.8%)', '강간(13.4%)' 순이었다.
특히 이들의 최종…
'날아라 허동구'가 예매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힘차게 출발했다.
맥스무비(www.maxmovie.com)가 2007년4월25일 집계한 에 따르면, 영화 '날아라 허동구'가 예매점유율 22.8%로 26일 개봉과 동시에 1위 자리를 차지했다.
'날아라 허동구'는 IQ 60인 11살 소년 동구와 아들 동구가 무사히 초등학교를 졸업하는 것이 가장 큰 꿈인 아빠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맥스무비(www.maxmovie.com)가 2007년4월17일부터 24일까지 를 주세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4,537명 중 35.5%가 '캐리비안의 해적 - 세상의 끝에서'를 꼽았다.
이어 5월1일 개봉을 앞두고 있는 '스파이더맨 3'가 26.0%로 2위를 차지했으며, △해리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13.0% △다이하드 4.0 10.9% △슈렉 3 7.8% △오션스 써틴 2.9% △판타…
삼성경제연구소(www.seri.org)가 25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기업이 한미 FTA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간은 길어야 5년에 불과할 것으로 보인다.
경쟁국들이 미국과 FTA를 체결하면 한국기업의 이점이 자동소멸되기 때문.
실제로 미중 FTA는 조기실현 가능성이 낮은 편이지만, 미일 FTA는 5년 후에는 실현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