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새벽시장에 대한 평가가 타 소비시장 대비 가장 높았다. 신뢰성과 가격 공정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10일 데이터뉴스가 한국소비자원의 '2024 한국의 소비자시장평가지표 생산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새벽시장의 2024년 소비자시장평가지표(KCMEI)가 71.8점으로 40개 소비자시장 중 가장 높았다.한국소비자원은 2013년부터 6차수에 걸쳐 소비…
경기침체가 이어지며 2025년 1분기 소상공인 매출이 줄었다. 다만 소상공인들이 매출 감소에 맞춰 비용을 줄이며 이익률은 유지됐다.10일 데이터뉴스가 한국신용데이터(KCD)의 '소상공인 동향 리포트(2025년 1분기)' 보고서 23페이지를 분석한 결과, 지난 1분기(1월~3월) 전국 소상공인 평균 매출은 전기 대비 12.9%, 전년 동기 대비 0.7% 감소한 4179만 원으로 집계됐다.지속…
2022년 직접흡연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7만2689명에 달하며, 최근 3년 사이 18%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9일 데이터뉴스가 질병관리청의 '흡연 기인 사망 및 사회경제적 부담 산출 연구'를 분석한 결과, 2022년 연도별 직접흡연 기인 사망자 수는 7만2689명으로 집계됐다.2020년 6만1360명에서 2021년 6만3426명으로, 해마다 증가세를 이어온 결과다. 2021년 대비 14.6%…
올해 상반기 베스트셀러는 계엄과 탄핵, 조기 대선까지 급변했던 사회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듯 사회정치서가 큰 관심을 받았다.9일 데이터뉴스가 예스24의 '2025년 상반기 출판계 트랜드'를 분석한 결과, 사회정치 분야 도서는 전년 대비 46.5% 판매 상승했다. 또한 지난 4월 출간된 이재명 대통령의 저서 '결국 국민이 합니다'가 종합 1위에 등극했다.이 대통령의 전작도 판매가 급증했…
성인 10명 중 6명은 저속노화 관련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28일 롯데멤버스 자체 리서치 플랫폼 라임에 따르면, 20~60대 남녀 약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65.1%가 '최근 1년 동안 저속노화 관련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구체적으로는 저속노화 식품 섭취가 36.9%로 활동 중 가장 많았다. 건강기능식품 섭취 35.8%, 운동 프로그…
결혼식에 수천만 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29일 데이터뉴스가 한국소비자원의 결혼서비스 가격 조사를 분석한 결과, 올해 4월 계약 기준 전국 예비부부들의 결혼서비스 총 계약금액은 전국 평균 2101만 원으로 집계됐다.소비자원은 전국 14개 지역 소재 결혼식장 370개와 결혼준비대행업체 152개를 대상으로 5000건(토요일 11시 ~ 13시 시작 예식)의 결혼식장 계약금액과 1814…
학생 10명 중 4명은 통일에 대해 필요성을 못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28일 데이터뉴스가 통일부의 '2024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통일이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42.3%로 집계됐다.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로 '통일 이후 사회적 문제발생'이 꼽혔다. 이어 경제적 부담(22.2%), 정치제도의 차이(18.7%), 사회문화의 차이(13.1%)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폭염 기간 동안 구급차 출동과 온열질환자 이송이 최근 5년 중 가장 많은 수준으로 집계됐다.28일 데이터뉴스가 소방청의 최근 5년간(2020~2024년) 폭염 대응 구급활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해마다 온열질환자 발생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24년 폭염 구급대 운영기간 동안에는 총 3164건의 폭염 관련 구급 출동이 이뤄졌고, 이 중 2698명이 의료기관으로 이…
물가 부담과 경기 불확실성 속에 황금연휴마저 소비를 자극하지 못했다. 신용카드 사용액이 큰 폭으로 줄며 국내 소비 침체가 점점 고착화되는 모습이다.28일 통계청 나우캐스트에 따르면, 지난 5월 3일부터 9일까지 국내 신용카드 이용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기간은 주말과 어린이날, 대체공휴일이 이어진 황금연휴였던 만큼, 기대와 달리 소비…
국내 여행에서 1박 2일 단기 여행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높아지는 단기 여행 수요에 따라 방문하는 곳도 접근성이 뛰어난 지역들 위주로 증가했다.28일 데이터뉴스가 컨슈머인사이트의 월간 국내·해외 여행동향 보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여행의 단기간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특히 올해 조사에서 4월까지의 여행 중 1박2일 단기여행 비중이 52%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