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광고 지원사업을 받은 소상공인들의 평균 매출이 10.8% 증가했다.8일 데이터뉴스가 방송통신위원회의 '2025 소상공인 방송광고 제작지원사업'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근로자 수가 10인 미만인 소상공인 193개사가 방송광고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이 사업은 소상공인(소기업 중 근로자 수가 10명 미만인 자)의 자생력 확보와 성장에 도움을 주면서 지역경제 및 방송광고시장 활…
지난 4년간 인공지능(AI)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8일 데이터뉴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의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만 6세 이상 인구의 AI 서비스 경험률은 2021년 32.4%에서 2024년 60.3%까지 증가했다.AI 서비스를 경험한 주 연령층은 40대 이하로 나타났다. 30대(71.6%), 20대(67.9%), 10대(6…
헌혈에 참여하는 인원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10년 전보다 40만 명이 감소했다.7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대한적십자사의 '2024년 혈액사업 통계연보'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헌혈 참여자 수는 126만4525명으로 전년 대비 2.8%(3만6219명) 감소했다.10년 전인 2014년과 비교하면 169만6095명에서 25.4%(43만1570명) 하락했다.지난해 수치가 집계된 이래 최저…
최근 5년간 국내 화학사고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수은 누출의 절반 이상이 교육기관에서 발생해 주의가 필요하다.7일 데이터뉴스가 국립소방연구원이 발표한 2024 국내 화학사고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화학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총 120명(사망 5명, 부상 115명)에 달했다.인명피해를 초래한 주요 사고물질로는 일산화탄소, 황산, 질산, 수산화나트…
한국문화콘텐츠를 경험한 외국인들은 '한국'하면 K팝을 가장 많이 떠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7일 데이터뉴스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의 2025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한류 경험자들은 한국을 떠올릴 때 K팝을 가장 많이 연상시키는 것으로 조사됐다.이번 조사는 해외 26개국(중국,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등) 한국문화콘텐츠 경험자 2만64…
올해 3월 한국인이 가장 즐겨보는 방송영상 프로그램은 넷플릭스 웹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로 나타났다.2일 데이터뉴스가 한국갤럽이 3월 조사한 '2025년 3월 가장 즐겨본 방송영상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6.9%가 폭싹 속았수다를 가장 즐겨보는 프로그램으로 꼽으며 1위를 기록했다.이번 조사는 2025년 3월 18일부터 20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진…
이쿠폰서비스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전년 대비 대폭 줄었다. 티메프 사태 여파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2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2025년 2월 온라인쇼핑동향'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2월 총 거래액은 21조616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20조3465억 원) 대비 3.5% 증가했다.도서, 가전, 생활, 식품, 패션식품등의 거래액이 전년 대비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끌었다.특히 통…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동영상 서비스 앱을 활발하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일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올해 2월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중 동영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앱)을 1번 이상 이용한 사용자는 4841만 명(94.0%)으로 집계됐다.이번 조사는 와이즈앱이 국내 안드로이드 및 iOS 사용자 표본을 기반으로 진행했다. 동영상 서비스 앱에는 치지직, 쿠팡플레이, 인스…
청년들 사이에서 당뇨병 환자가 늘고 있다. 8년 새 10만 명이 넘게 증가했다.1일 데이터뉴스가 대한당뇨병학회가 발표한 '팩트시트 2024'를 분석한 결과, 청년(19~39세) 당뇨병 환자는 2014년 18만3928명에서 2022년 30만7965명으로 67.4%(12만4037명) 상승했다.연령별로 30~39세가 22만8005명으로 전체(30만7965명)의 74.0%를 차지했다. 19~29세는 7만9960명으로…
2월까지의 국세 수입이 전년 대비 3조 원 가까이 늘었지만, 부진한 세수 진도율에 세수 결손이 또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1일 데이터뉴스가 기획재정부의 '2025년 2월 누계 국세 수입 및 현황'을 분석한 결과, 2월 누계 국세수입은 61조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조9000억 원 증가했다.각 분야별로는 ▲소득세 +2조70000억 원 ▲부가가치세 -7000억 원 ▲법인세 +7000억 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