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 제도 시행 이후 증권사가 가장 많은 적립금을 순유입했다.24일 데이터뉴스가 고용노동부의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 실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가 개시(2024년 10월 31일) 이후 3개월(2025년 1월 31일까지)동안 약 2조4000억 원의 적립금이 이전됐다.실물이전이란 퇴직연금 가입자가 계좌 내 운용 중이던 상품을 매도하지 않…
OTT 계정공유 플랫폼과 관련된 소비자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2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1372소비자상담센터와 소비자원에 접수된 계정공유 플랫폼 관련 상담·피해구제 신청내용을 분석한 결과, 최근 3개월간 상담 174건, 피해구제 34건이 접수됐다.이중 특정 사업자(쉐어풀)의 계정 이용정지 및 환급지연과 관련한 경우가 각각 93.7%, 97.1%를 차지했다.계정공유란 구독권…
지난해 재난적의료비 지원 건수가 역대 최다치를 경신했다.21일 데이터뉴스가 보건복지부의 '2024년 재난적의료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재난적의료비 지원 건수가 5만735건으로 집계됐다. 전년(3만3585건) 대비 51.1% 증가했다.재난적의료비 지원사업은 가계 소득수준에 비해 과도한 부담이 되는 재난적의료비가 발생한 경우, 의료비 일부(80%~50%)를 지원하는 제도다…
연구개발 활동을 하지 않고 허위 연구소를 설립하고, 남의 논문을 베껴 부당하게 세액공제를 받는 등 제도를 악용한 조세회피 행위가 늘어나고 있다.21일 데이터뉴스가 국세청의 'RD 세액공제 사후관리 추징 현황'을 분석한 결과, 추징 실적은 2021년 27억 원에서 2024년 270억 원으로 10배 증가했다.국세청은 연구 및 인력개발비 세액공제에 대한 부당공제를 방지하기 위해 매년 사…
넷플릭스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OTT앱으로 뽑혔다. 또한 앱 사용자수는 지난 달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21일 앱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 달 월 이용자수(MAU)는 넷플릭스가 1416만 명으로, 전월(1317만 명) 대비 7.5% 증가했다.이는 2위 쿠팡플레이(760만 명)와도 2배 가까이 차이난다. 그 뒤로는 티빙(626만 명), 웨이브 (272만 명), 디즈니플러…
2024년 서울지하철 1~8호선 중 가장 많은 승객이 이용한 역은 2호선 잠실역으로 나타났다.21일 데이터뉴스가 서울교통공사의 ‘2024년 서울 지하철 1~8호선 수송 통계’를 분석한 결과, 2호선 잠실역이 평균 승하차 인원 1위를 기록했다. 잠실역의 지난해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은 15만6177명으로 집계됐다.잠실역은 광역환승센터가 지하에 위치해 평소에도 유동인구가 많은 데…
4분기 아반떼와 그랑 콜레오스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며 차량별 견적 횟수 순위에 변동이 생겼다.20일 데이터뉴스가 신차구매 플랫폼 ‘모딜카’의 2024년 4분기 견적 산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카니발의 견적 횟수는 전분기와 마찬가지로 가장 많은 1만4250건으로 집계됐다.카니발 견적 횟수는 전분기(2만7475건) 대비 52% 감소했음에도 견고한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카니발 다…
올해 1월 한국인이 가장 즐겨보는 방송영상 프로그램은 넷플릭스 웹드라마 오징어 게임 시즌2로 나타났다.20일 데이터뉴스가 한국갤럽이 조사한 '2025년 1월 좋아하는 방송영상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넷플릭스 웹드라마 ‘오징어 게임 시즌 2’가 5.6%의 선호도로 1위를 차지했다.이번 조사는 2025년 1월 14일부터 16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채용 한파가 계속되고 있다. 신규 채용이 2년 연속 줄어들면서 지난해 증가폭이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20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의 국가포털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3분기 기준 신규 채용 일자리는 582만30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24만6000개 늘었다. 증가폭이 20만 개에 머무른 건 2018년 이후 6년 만이다.3분기 기준 2022년 620만7000개, 이듬해 605만3000개로 신규…
1020세대 사이에서 독서 열풍이 불고 있다. 1020세대들의 도서 리뷰 건수가 늘고 있다.20일 데이터뉴스가 예스24 독서 커뮤니티 '사락'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020세대 도서 리뷰 건수가 4만4562건으로 집계됐다. 2023년 3만 건 미만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51.7% 증가했다.소설을 포함한 문학의 인기를 힘입어 1020세대의 책 구매율이 늘고 있다. 정대건 작가의 급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