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메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기차를 활용한 전력중개거래 생태계 조성’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현대건설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공고한 ‘2024년도 1차 에너지기술개발사업 공모’에서 ‘에너지수요관리 핵심기술개발’ 품목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주관사로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기아를 비롯해 전기차 및 충·방전소 실증 설비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 등 15개의 국내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전기차 수요자원화를 위한 양방향 충·방전 플랫폼(V2G)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 22일 체결했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제안한 세부 연구과제는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연계 V2G 기술을 활용한 대규모 전기차 수요자원화 기술 및 서비스 생태계 구축’이다.
현재 배터리 충전을 통해 운송수단만으로 활용되는 전기차에 방전 기능까지 추가해 전기차 배터리 자체를 에너지 저장장치(ESS)처럼 활용 가능한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이번 실증연구는 정부에 약 200억 원을 지원받고 민간 부담금까지 포함해 약 380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하는 연구과제로, 2028년까지 4년간 1500기 이상의 충·방전기를 설치해 V2G 실증을 수행한다.
전기차 배터리를 활용한 V2G 기술은 한정된 에너지 자원의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지속가능한 기술 중 하나다.
V2G 기술 구현을 위해서는 전기차 제조사를 비롯해 충·방전 관련 사업자, 한국전력과 한국전력거래소 등 전력시장 운영기관과 가상발전소(VPP) 사업자, 플랫폼 IT기업 등 많은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과 기술 교류가 요구된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의 성능과 내구성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고 충·방전기에 접속을 적극 유도할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전기차 소유주를 V2G에 참여시키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이 부분의 해결을 위해 이번 V2G 과제에서 핵심 경쟁력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의 소프트웨어 중심 자체 진화형 모빌리티인 ‘SDV(Software Defined Vehicle)’를 제시했다.
SDV의 핵심적인 소프트웨어 기능으로 V2G를 구현함으로써 전기차 소유주가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충·방전 플랫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또 각기 운행패턴과 사용률이 다른 전기차를 V2G로 활용할 수 있도록 통계화해 안전한 발전원으로 관리될 수 있는 운영 알고리즘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한국전력의 배전망, 충·방전기, 전기차 배터리 간 전기의 흐름 및 안전한 거래가 보장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상호 운용체계도 구축할 예정이다.
성수아 기자 sa358@dat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