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은행, '울산지방변호사회카드' 업무 협약

경남은행 울산본부(본부장 제병동)가 지난 29일오후5시 울산지방변호사회 회의실에서 제병동 부행장보와 울산지방변호사회 한만우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울산지방변호사회카드」발급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발급하게 된「울산지방변호사회카드」는 울산지방변호사회 회원을 대…

- 2006.08.30 00:00
대표이미지

한국 GDP 세계 12위

지난 한 해 우리나라의 국내 총생산액 규모가 세계 12위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에 따르면, 2005년 우리나라의 국내 총생산액이 7,875억 달러로 전년과 비교해 1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 12위 규모로 미국과의 격차도 지난 2001년 약 21배에서 2005년 현재 약 15배로 줄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도 2004년에 비해…

- 2006.08.29 00:00
대표이미지

1인당 월 건강보험비, 4만8,413원

금년 1월 보험료 3.9%인상과 직장가입자 증가의 영향으로 금년 상반기 보험료부과액은 전년대비 9,149억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www.nhic.or.kr)이 발간한 에 따르면 2006년6월말 현재 건강보험적용인구는 4,754.5만명 의료급여 적용인구는 182.1만명으로 집계됐다. 직장적용인구는 2,797.7만명으로 건강보험적용인구의 58.8%를 점유해 5…

- 2006.08.29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연도별 의료보장적용인구

국민건강보험공단(www.nhic.or.kr)이 발간한 에 따르면 2006년6월말 현재 건강보험적용인구는 4,754.5만명, 의료급여 적용인구는 182.1만명으로 집계됐다. 한편, 직장적용인구는 2,797.7만명으로 건강보험적용인구의 58.8%를 점유해 5년6개월만에 557.3만명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 2006.08.29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건강보험적용 노인인구 및 노인진료비 추이

국민건강보험공단(www.nhic.or.kr)이 발간한 에 따르면 2006년6월말 현재 건강보험적용인구는 4,754.5만명 의료급여 적용인구는 182.1만명으로 집계됐다. 직장적용인구는 2,797.7만명으로 건강보험적용인구의 58.8%를 점유해 5년 6개월만에 557.3만명이 증가했다. 2006년 상반기 65세 이상 노인은 403만명으로 건강보험인구의 8.5%를 점유했다. 노인 1인당 월…

- 2006.08.29 00:00
대표이미지

[표] 질병소분류별 입원·외래 다빈도 질병

국민건강보험공단(www.nhic.or.kr)이 발간한 에 따르면 2006년6월말 현재 건강보험적용인구는 4,754.5만명 의료급여 적용인구는 182.1만명으로 집계됐다. 직장적용인구는 2,797.7만명으로 건강보험적용인구의 58.8%를 점유해 5년6개월만에 557.3만명이 증가했다. 2006년 상반기 중 한차례 이상 병·의원을 이용한 비율은 87.7%였고, 적용인구 1인당 월 건강보…

- 2006.08.29 00:00
대표이미지

가계신용 546조로 사상 최고치 기록!

일반가정이 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이나 외상으로 물품을 구입하고 진 빚을 모두 합해 일컫는 '가계신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은행(www.bok.or.kr)이 발표한 에 따르면, 2/4분기 중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잔액이 전분기 보다 16.7조원 증가한 545.5조원을 기록, 사상 최고치를 나타냈다.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가계대출은 예금은…

- 2006.08.29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가계대출 및 판매신용 증감액 추이

한국은행(www.bok.or.kr)이 발표한 에 따르면, 2/4분기 중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잔액이 전분기 보다 16.7조원 증가한 545.5조원을 기록, 사상 최고치를 나타냈다. "가계대출 증감액"은 15조8,161억원으로 전분기 7조3768억원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예금은행 및 비은행금융기관 대출이 전분기보다 모두 증가했기 때문. 예금은행 대출…

- 2006.08.29 00:00
대표이미지

성인 28%, 수면장애 겪고 있다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3명 정도가 '수면장애'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계명대학교동산병원(www.dsmc.or.kr) 수면클릭닉 조용원교수가 대한수면연구회와 함께 21세 이상 69세 미만의 성인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7.6%가 '잠드는 것이 어렵거나 밤(새벽)에 깼을 때, 다시 잠들기 힘들다'고 답했다. 이러한 수면장애 유병률은 여…

- 2006.08.29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연령별 수면장애 유병률

계명대학교동산병원(www.dsmc.or.kr) 수면클릭닉 조용원교수가 대한수면연구회와 함께 21세 이상 69세 미만의 성인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7.6%가 '잠드는 것이 어렵거나 밤(새벽)에 깼을 때, 다시 잠들기 힘들다'고 답했다. 이러한 수면장애 유병률은 여성(30.3%)이 남성(24.9%)보다 높았고, 나이가 많을수록 그 비율이 높아져 20대 18.4%, 4…

- 2006.08.29 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