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업계가 불황에 오히려 승승장구하고 있다. ‘런치플레이션’으로 구내식당을 찾는 사람이 늘었고 해외 진출 등 사업다각화가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2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주요 단체급식기업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삼성웰스토리, 현대그린푸드, CJ프레시웨이의 매출이 모두 증가했다.특히 삼성웰…
청소년 대부분이 저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실천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었다.23일 우리은행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청소년 라이프스타일 보고서 '틴즈 다이어리'에 따르면, 청소년 중 92.8%가 저축의 중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저축이나 투자를 실천하는 비율은 낮은 편이었다.틴즈 다이어리는 전국의 만 14~18세 청소년 3729명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다.청소…
고향사랑기부제 시행 2년 차인 지난해에 기부금은 2023년 대비 35.2%, 기부 건수는 47.2% 증가하며 기부 참여가 더욱 확대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30대의 기부자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3일 데이터뉴스가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고향사랑기부금 모금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전국 243개 지방자치단체에서 879억3000만 원이 모금된 것으로 나타났…
명절 증후군은 명절 기간 가사 및 경제 부담으로 심신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느끼는 증상을 의미한다. 펜데믹을 기점으로 여러 가정 내 명절을 보내는 방식이 달라졌지만, 여전히 명절 음식 준비 등으로 부담을 갖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23일 데이터뉴스가 소형 주방가전 브랜드 닌자(Ninja)의 소비자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 만 30세~54세 여성 500명 중 91.2%가 명절 준…
청소년 10명 중 8명이 명절에 받은 용돈을 본인이 직접 관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로 5~10만 원 미만을 받았다.우리은행이 발행한 틴즈 다이어리는 전국의 만 14~18세 청소년 372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됐다. ▲용돈 관리 방식▲소통방식과 관심 콘텐츠▲미래를 위한 준비▲고민과 속마음 등의 내용을 담았다.23일 데이터뉴스가 우리은행이 발행한 '틴즈 다…
LG생활건강이 뷰티테크, 반려동물 케어 등으로 사업 분야를 확대하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고 있다.23일 데이터뉴스의 취재를 종합한 결과, LG생활건강은 뷰티테크와 반려동물 케어 등에 투자하며 신사업에 주력하고 있다.2023년 5월 미니 타투 프린터 ‘임프린투’를 출시하며 뷰티테크 사업을 강화했다. 기존에 선보인 클렌징, 스킨케어 기기와는 다른 카테고리로 경쟁력을 확…
세뱃돈을 받는 것에 경제활동이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2일 데이터뉴스가 롯데멤버스의 자체 리서치 플랫폼 '라임'의 설 명절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세뱃돈을 언제까지 주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물음에 고등학생 34.1%, 대학생 33.4%로 가장 높았다. 취업 전까지가 17.0%로 그 뒤를 이었다.경제활동을 하는지가 기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결혼 전(6.3%), 유아…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가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감소 추세였던 전화금융사기가 2024년 들어 다시 늘어나면서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2일 데이터뉴스가 경찰청이 집계한 전화금융사기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11월 동안 발생한 전화금융사기 건수는 1만867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1만8902건)과 비교해 226건 적지만, 2024…
올해 설 연휴가 길어지면서 직장인 10명 중 6명이 여행 계획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22일 엘림넷 나우앤서베이에 따르면, 직장인 중 61.3%가 2025년 설 연휴 동안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고 응답했다.이 중 국내 여행을 계획한 비율은 47.4%로, 해외 여행(13.9%)보다 33.5%p 높았다.이번 조사는 올해 1월 16일부터 21일까지 6일 간 만 20세 이상 직장인 패널 900명을 대상으로 진행…
지난해 음악 저작권료 징수액이 4365억 원으로 집계됐다. 플랫폼 저작권료가 전년 대비 확대됐다.22일 데이터뉴스가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의 '2024년 음악 저작권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음악 저작권료 징수액은 4365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4061억 원) 대비 7.5% 증가했다.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따르면 음악 저작권료 징수액은 2023년 4000억 원을 넘어선 이후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