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 콘텐츠가 진화하면서 미디어 소비 패턴도 달라지기 시작했다.28일 나스미디어의 2025 디지털미디어 마케팅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8월 숏폼 콘텐츠 이용 시간은 1491억 분으로 전년 동월(1325억 분) 대비 12.5% 증가했다. 올해 숏폼 시청 경험도 82.7%로 전년(68.9%)보다 13.8%p 늘었다.숏폼은 영상 콘텐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2030년 국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4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노인 일자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27일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2023년 18.4%에서 2030년 25.5%로 20%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됐다. 2040년 34.4%, 2050년 40.1%로 10년 단위로 앞자리 수가 달라질 것으로 분석됐다.이에 노인 일자리도 늘고 있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 따르…
올해 3분기사망사고건수가전년 동기보다 줄었다. 건설업의 사망사고건수가 크게 감소한 덕분이다.2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누적 재해조사 대상사망사고건수는 411건으로 전년 동기(449건) 대비 8.5%(38건) 감소했다. 같은 기간 사고사망자도 459명에서 443명으로 3.5%(16명) 감소했다.이는 올해 상반기 대형사고 영향 등으로 전년동기 대비 사고사망자수가 증가했…
우리나라 1인 가구가 하루 평균 챙겨 먹는 끼니 수가 ‘두 끼’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26일 KB경영연구소의 ‘2024 한국 1인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1인가구는 하루 평균 1.8끼, 주간 평균 12.9끼를 먹는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 하루 평균 2.2끼, 주간 평균 15.5끼보다 덜 챙겨 먹었다.연령별로 보면 40~50대가 20~30대보다 챙겨 먹는 끼니 수가 많은 편이다. 20~…
김이 수출액을 꾸준히 늘리며 위상을 높여가고 있다. 올해는 10개월 만에 김 수출액(평균 환율 1359.26원 반영)이 1조 원을 넘겼다.27일 데이터뉴스가 해양수산부의 김 수출액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0월 누적 기준 김 수출액은 8억4957만 달러로 집계됐다.세계 김 시장 중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 김 수출은 매년 그 수출액을 확대시키며 위상을 높이고 있다. 2010년…
코로나로 도서관 방문자 3분의 2가 떠나갔다. 이에 도서관은 다시 방문자를 늘리기 위해 한강 작가의 도서전을 여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27일 데이터뉴스가 문화체육관광부의 '2023년(2022년 기준) 공공도서관 통계조사 결과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0년 1관당 방문자 수는 2019년(25만804명) 대비 69.5% 급감한 7만6431명으로 집계됐다.이는 2020년 초에 발발한 코로나…
종합부동산세 대상자가 전년보다 증가했다. 공시 가격 상승에 의한 것으로 풀이된다.26일 데이터뉴스가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의 보도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종합부동산세(주택분+토지분) 납부 대상자는 54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50만 명보다 약 5만 명 가량 많은 수치다.전체 종합부동산세액은 5조 원으로 지난해 4조7000억 원보다 3000억 원 늘었다.정부가 세 부…
준대규모점포(SSM)이 점포당 매출을 늘리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2.4% 증가하며, 오프라인 유통업체 중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점포 수 증가율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26일 데이터뉴스가 산업통상자원부의 '2024년 10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오프라인 유통업체(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준대규모점포(SSM)) 중 SSM이 전년 대비 점포당 매출을 가장…
지난 10월 이상기온 등으로 인해 백화점, 대형마트 등의 매출이 감소했다. 반면, 온라인 매출은 여행 상품, 배달 이용 등이 증가하며, 서비스·식품 위주로 성장했다.26일 산업통상지원부가 발표한 '2024년 10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에 따르면, 지난 10월 주요 유통업체 전체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6.7% 증가했다. 오프라인 부문은 전년 동기와 같은 수준, 온라인 매출은 13.9% 증…
국외 및 국내로 입양되는 아동의 숫자가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26일 데이터뉴스가 보건복지부의 '국내 입양아 수 및 입양 비율'을 분석한 결과, 연내 법원의 인용판결이 이루어진 아동 수 기준 지난해 229명이 입양된 것으로 집계됐다.이는 2014년 총 1172명의 아동이 입양된데 반해 대폭 감소한 수치다. 입양된 아동은 2019년을 제외하고 매년 줄어들고 있다.특히 국외로 입양되는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