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명 중 1명이 반려식물을 기르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에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7일 데이터뉴스가 농촌진흥청이 진행한 우리나라 반려식물 인구와 산업 규모 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반려식물을 기른다고 답한 응답자는 3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려식물이란 인간과 교감을 나누는 특정한 식물로, 살아있는 생명체임을 인식하고 물을 주는 등 적…
모바일게임이 전체 게임산업 매출의 59.3%를 차지했다.17일 데이터뉴스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4 대한민국 게임백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모바일게임 매출이 13조6118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게임산업 매출은 22조9642억 원으로 집계됐는데, 이 중 모바일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59.3%로 가장 높았다.PC…
최근 10년 간 국내 게임 산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만 2020년 이후 성장률 자체는 둔화하는 추세다.17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발표한 '2024 대한민국 게임백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국내 게임산업 매출은 22조9642억 원으로 전년(22조2194억 원) 대비 3.4% 증가했다. 다만 수출은 83억9400만 달러(한화 약 9785억 원)으로 전년 대비 6.5% 감소…
Z세대 대학생 10명 중 8명 이상은 올해 전국적으로 진행된 대학교 등록금 인상에 대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4일 비누랩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대학생들은 대학 등록금 인상에 대해 84.8%가 ‘부정적’이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이라고 답변한 비율은 7.84%에 그쳤다.이는대학생활 플랫폼 에브리타임을 통해 지난 2월 28일부터 3월 4일까지 5일간 대학생 204…
사교육비가 또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저출산으로 학생수가 감소함에도 불구, 사교육비 열풍은 세차게 이어졌다.14일 데이터뉴스가 교육부의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사교육비 총액은 29조2000원으로 집계됐다. 전년(27조1000원) 대비 2조1000억 원(7.7%) 증가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교육부는 통계청과 공동으로 전국 초중고 약 3000여 학급을…
지그재그가 무신사를 밀어내고 패션/의류 앱 신규설치 1위 자리를 차지했다.14일 데이터뉴스가 모바일인덱스의 '2월 월간 인기 모바일 앱 순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카카오스타일이 운영하고 있는 지그재그가 패션/의류 앱 신규설치 1위를 차지했다.지그재그는 지난 11월 포스티, 탑텐(TOPTEN10) 등을 제치고 신규설치 2위 자리를 차지했다. 이후 신규설치 건수를 늘리며 꾸준히…
최근 3년간 산악사고가 3만 건으로 집계됐다. 연평균 1만 건 발생, 특히 봄과 가을철에 집중됐다.14일 데이터뉴스가 소방청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산악활동으로 인한 구조활동 건수는 총 3만1330건으로 나타났다. ▲2022년 1만389건 ▲2023년 1만807건 ▲2024년 1만134건으로 연평균 약 1만 건의 구조활동이 이뤄졌다.특히 봄철에는 낙석, 추락 등의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해 SNS와 외신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케이팝(K-POP) 키워드는 ‘방탄소년단’이었다. ‘블랙핑크’와 ‘뉴진스’도 상위권에 포함되며 글로벌 인기를 증명했다.13일 데이터뉴스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정보원이 발표한 ‘2024년 글로벌 한류 트렌드 분석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방탄소년단이 13.4%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가장 높은 언급량을 기록했다.방탄소년단의…
정부가 12대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13일 데이터뉴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의 '국가전략기술 육성 2025년 시행계획'을 분석한 결과, 12대 국가전략기술 및 50개 세부 중점기술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비가 전년 대비 28.0% 증가한 6조4000억 원으로 집계됐다.2024년에는 기업 보조금성격의 나눠주기 사업, 성과부진 사업 등에 대한 구…
치매 환자 가족 중 45.8%가 돌봄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주요 사유는 경제적 부담이었다.13일 데이터뉴스가 보건복지부의 '2023년 치매역학조사 및 실태조사 주요 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역 사회 치매환자 가족의 45.8%가 돌봄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매우 부담과 부담의 응답 비중이 12.9%, 32.9%씩이었다.보건복지부는 치매 유병률을 측정하고 치매 관련 위험요인을 확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