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에 취업사이트만 쉴새없이 들락날락~

지난 10월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동향'에 따르면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8.0%로 1999년 8.6% 이후, 7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경제가 성장해도 고용 창출력은 떨어지는 경향이 계속됨에 따라 구직인구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현상은 온라인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취업 사이…

- 2007.02.14 00:00
대표이미지

12일 혁신도시특별법령 시행으로, 사업 박차!!

건설교통부(www.moct.go.kr)가 "혁신도시특별법 시행령"을 마련, 2월12일부터 시행함으로써 혁신도시 건설을 위한 법적 기반을 완비했다. 지난 달 11일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혁신도시특별법)' 제정·공포됨에 따라 건교부는 '혁신도시특별법 시행령' 제정(안)을 마련해, 2월6일 국무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2월12일부터 시…

- 2007.02.13 00:00
대표이미지

아동 손상사망 사회적 손실…年 2조원 이상!

상해나 사고로 사망한 아동의 사회적 손실액이 연간 2조원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www.mohw.go.kr)가 이화여자대학교 박혜숙교수 연구팀에 의뢰해 2004년도 1~17세 아동의 손상사망자 1,193명에 대한 노동력 손실비용을 추계한 결과, 한해 동안 아동의 손상 사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비용이 2조136억원에 이르렀다. 이는 퇴직연령 6…

- 2007.02.13 00:00
대표이미지

[표] 아동 손상의료이용의 연평균 비용 추계

보건복지부(www.mohw.go.kr)가 이화여자대학교 박혜숙교수 연구팀에 의뢰해 2001~2003년 동안 아동 안전사고로 인한 의료이용 연평균 비용을 추계한 결과, 연평균 비용이 입원 402억원, 외래진료 54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회 입원 및 진료를 기준으로 손상 후유증으로 반복적 입원·진료를 감안하면 실제 비용은 더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 2007.02.13 00:00
대표이미지

[표] 아동 안전사고 손상의 남녀 비율

보건복지부(www.mohw.go.kr)가 이화여자대학교 박혜숙교수 연구팀에 의뢰해 연구·발표한 에 따르면, 2004년 기준 '18세 미만 아동 안전사고 손상' 조사 결과, 여아에 대한 남아의 비율이 응급실 방문, 입원, 사망손상 모두 높게 나타났다. 또 15~17세에서의 손상사망의 경우 남아가 여아에 비해 약 4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 2007.02.13 00:00
대표이미지

'밤손님' 일요일 새벽 가장 활발

12월 그리고 일요일 새벽 시간이 도둑들이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시간인 것으로 밝혀졌다. 에스원(www.s1.co.kr)이 지난해 51만여명 고객의 건물을 대상으로 '침입범죄 발생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2004년(100.0)을 기준으로 한 침입 범죄 발생률이 ▲2005년 118 ▲2006년 177로 증가했다. 특히 2006년의 경우, 발생률이 전년대비 50% 가까이 급등했다.…

- 2007.02.13 00:00
대표이미지

해외투자 활성화···과도한 자본유출 우려!

해외투자가 이미 빠른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가 지난달 16일 '해외진출 활성화 및 해외투자 확대 방안'을 발표해 과도한 자본유출이 우려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www.hri.co.kr)이 발표한 에 따르면, 2006년 해외직접투자 금액(신고기준)이 184.6억달러로 사상 첫 100억달러를 돌파하며 2003년 이후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다. 내국인의 해외직접투자…

- 2007.02.13 00:00
대표이미지

내달 상가 공급 5,317개 점포···18% 감소

다음 달 상가 공급이 작년동기에 비해 17.7% 감소할 전망이다. 상가정보 제공업체 상가114(www.sg114.com)에 따르면, 다음달 전국적으로 새롭게 입점하는 상가가 총 51곳 5,317개 점포로, 연면적은 18만4,713.97평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해 3월에 입점상가수(62곳)에 비해 11곳이나 감소한 수치. 지역별로는 '서울'이 10곳 1,357개 점포로 가…

- 2007.02.13 00:00
대표이미지

정부…UCC 활성화 종합대책 마련!

정부가 최근 불어닥친 UCC(사용자 제작 콘텐츠) 열풍에 발맞춰, 건전한 UCC 제작의 활성화를 위해 종합대책을 수립했다. 정보통신부(www.mic.go.kr)가 조사·집계한 바에 의하면, 12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 5명 중 2명 정도(43.2%)가 UCC 제작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제작한 UCC는 '사진'의 형태가 91.0%로 가장 많았고, 이어 ▲텍스트 85.0%…

- 2007.02.13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의 유형

정보통신부(www.mic.go.kr)가 조사·집계한 바에 의하면, 12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 5명 중 2명 정도(43.2%)가 UCC(사용자 제작 콘텐츠) 제작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만든 UCC의 유형으로는 '사진'이 91.0%로 가장 많았고, 이어 ▲텍스트 85.0% ▲동영상 30.4% ▲음악 28.1% ▲애니메이션·플래시 23.2% 순이었다(복수응답).

- 2007.02.13 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