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되는 폭염 속 산림휴양이 대안으로 제시됐다.14일 데이터뉴스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의 '횡성숲체원 평균기온'을 분석한 결과, 지난 3년간 폭염기간(6월~8월) 횡성숲체원의 평균 기온은 20.0도로 도시(25.3도)보다 5.3도 낮았다.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지난 3년간 폭염 기간의 기온을 조사했다. 연구는 전국 44개소 132지점에 설치된 산림 미세먼…
살모넬라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한 장소로 음식점이 꼽혔다. 최근 5년간 발생한 식중독 중 63%를 차지한다.11일 데이터뉴스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현황(2020년~2024년 누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건수는 총 204건으로 집계됐다. 환자 수는 7788명이었다.살모넬라는 가금류·포유류의 소화관 또는 물과 토양에 존재하는…
담배꽁초가 화재 발생 주요 요인으로 지적됐다.11일 데이터뉴스가 소방청의 '2024년도 화재통계연감'을 분석한 결과, 2015~2024년(10년)까지 발화요인 중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1위(20만931건, 49.5%)를 차지했으며, 부주의 중에서 담배꽁초가 6만1408건(30.6%)으로 가장 많았다.지난 10년간 총 40만5977건의 화재가 발생했고, 3132명이 사망했으며, 2만252명이 부상을 입…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 중 4명 중 1명꼴로만 숨이 찰 정도의 신체활동을 실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과 고령층의 실천율은 평균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었다.11일 데이터뉴스가 질병관리청의 '202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6.6%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유행이 한창이던 2021년 19.7%까지 떨어졌다가 점차 회복 중이지만, 여전…
한국 반려동물 시장에서 몰티즈와 코리안숏헤어가 각각 가장 사랑받는 견종과 묘종으로 나타났다.KB금융그룹 경영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반려견 보호자들이 가장 많이 키우는 견종은 몰티즈(20.4%)였다. 이어 ▲푸들(18.9%) ▲믹스견(15.1%) ▲포메라니안(12.8%) 순으로 집계됐다.반려묘의 경우 ‘코리안숏헤어’의 선호도가 4…
직장인 중 절반이 올해 상반기동안 이직 활동에 나섰다.10일 데이터뉴스가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의 올해 상반기 이직 현황 설문조사(직장인 1302명)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 중 50.2%가 이직 활동을 했다고 응답했다. 직장인 2명 중 1명은 이직 활동에 나선 셈이다.직급별로는 대리급이 56.2%로 가장 높았고, 과장급과 사원급도 51.8%, 51.4%로 50%를 넘겼다. 부장급과 임원급은 4…
고령층은 삼성, 20대는 애플을 가장 많이 사용해 연령대별 스마트폰 선호가 뚜렷하게 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9일 데이터뉴스가 한국갤럽의 2025년 스마트폰 관련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 응답자 986명 중 삼성(갤럭시)을 사용 중인 비율은 72%, 애플(아이폰)은 24%로 집계됐다. 삼성은 전년 대비 3%p, 애플은 1%p 증가했다.LG가 2021년 스마트폰 사업을 철수한 이후 고…
올해 상반기 발생한 스미싱 문자 중 37%가 개인정보 유출 및 수집 사칭인 것으로 조사됐다.9일 데이터뉴스가 카카오뱅크의 2025년 상반기 스미싱 문구 유형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25년 상반기 가장 많이 발생한 스미싱 문구 유형은 개인정보 유출 및 수집 사칭이었다.카카오뱅크는 지난해 12월 AI 스미싱 문자 서비스 출시 이후 6개월간 접수된 약 3만7000건의 스미싱 데이터를 기반…
여름철 폭염이 일상화되며 화재 발생 건수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가 꾸준히 늘어났다.8일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여름철(6월~8월) 전체 화재 건수는 ▲2020년 8408건 ▲2021년 8099건 ▲2022년 8248건 ▲2023년 8647건 ▲2024년 9651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대비 지난해 15%가량 증가한 수치다.같은 기간 전기적 요인에 따른 화재도 증…
이재명 정부의 2차 추경안에 따라 높아진 경기 부양 기대감과 지속적 주담대 금리 인하로 분양시장에 긍정적 전망이 돌고 있다.8일 데이터뉴스가 주택산업연구원의 '2025년 7월 아파트분양전망지수'를 분석한 결과, 7월 전국 평균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2.4p(포인트) 상승한 97.0로 나타났다.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분양 여건을 판단하는 지표로, 기준선 100을 넘으면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