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용이 잦아짐과 동시에 과도한 의존, 개인정보 노출 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14일 데이터뉴스가 대학내일20대연구소의 'Z세대의 생성형 AI활용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텍스트 생성형 AI 최근 한달 사용률(복수응답) 1위는 챗GPT(92.5%)로 나타났다.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전국 19~29세 남녀 중 생성형 AI 고관여 사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넷플릭스가 주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중 소비자 만족도 1위에 올랐다.14일 데이터뉴스가 한국소비자원의 OTT 서비스 품질 비교 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월간 활성화 사용자 수(MAU) 기준 상위 5개사(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웨이브, 쿠팡플레이, 티빙)의 종합 만족도는 평균 3.64점(5점 만점)으로 집계됐다.5개 업체 중 넷플릭스의 종합 만족도가 3.75점으로 가장 높…
휴가철인 8월 교통사고 원인으로 20대는 렌터카, 40대는 음주운전이 가장 많았다.13일 데이터뉴스가 한국도로교통공단의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8월 한 달간 발생한 교통사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렌터카 사고의 26.0%가 20대 운전자로 나타났다. 이들에 의한 사망자 비율도 44.0%를 차지해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야간사고 비율 역시 20대 렌터카 운전자가 타 연령 대비 높…
지난해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에 더불어 올해 초 젊은 작가들과 문단의 거장들이 잇따라 신간을 출간했고, 2025년 서울국제도서전이 역대급 흥행을 기록하며 '한국 문학' 열풍이 불고 있다.13일 데이터뉴스가 예스24의 '7월 한국문학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올해 ‘한국 소설’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83.2%, ‘한국 시’는 34.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7월 종합베스…
올해 상반기 퇴사자 수가 전년 하반기 대비 감소했다. 경기 침체로 이직이 어려워진 데 영향을 받았다.13일 데이터뉴스가 잡코리아의 2025년 상반기 취업 결산 리포트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퇴사자 수는 20만 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하반기(26만 명) 대비 22% 급감했다.잡코리아는 이에 대해 경기 침체로 이직이 어려워지자 퇴사 대신 현 직장에 머무르며 기회를 모색하는 이른바…
전국 소상공인 가운데 2명 중 1명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이후 사업장 매출이 증가했다고 느꼈다.12일 데이터뉴스가 소상공인연합회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55.8%(다소 증가함 40.1%+크게 증가함 15.7%)가 소비쿠폰 사용 이후 사업장에서 매출이 증가했다고 응답했다.이번 조사는 정부가 추진하는 소비쿠폰 정책이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
한국 MZ세대가 생활비 지출과 노후 대비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11일 데이터뉴스가 '딜로이트 글로벌 2025 MZ세대 서베이-한국 조사'를 분석한 결과, 한국MZ 세대의 62%가 은퇴 후 안정된 삶에 회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딜로이트는 44개국에서 총 2만3482명의 MZ세대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이중 한국 응답자는 총 516명으로 Z세대 304명, M세대 212명이었다.…
장애인 상당수가 무인정보단말기(키오스크) 이용에 불편을 느끼며, 직원 응대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일 데이터뉴스가 보건복지부의 ‘2024년 장애인차별금지법 이행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무인정보단말기(키오스크) 이용 경험이 있는 장애인 277명 중 이용에 불편을 경험한 장애인은 58.4%(161명)으로 집계됐다.또한 이용 경험자 중 44.8%가 ‘직원에게 주…
8월 3일까지 사용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원금이 2조6518억 원에 달하며 절반 가까이 소진됐다. 외식업종 비중이 40%를 넘어 가장 많았다.8일 데이터뉴스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업종별 지원금 사용 및 매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 8월 3일까지 사용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대중음식점에서의 사용액이 가장 많았다.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5조7679억 원 중 2조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