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다시 상승세다. 2019년 말 배출량은 673만2644tCO2e로 집계됐다. 국내 공장 가운데 여수공장의 배출량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15일 데이터뉴스가 롯데케미칼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 기업의 2019년 말 기준 연간 환경투자비 규모는 294억3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직전년도(224억5000만 원) 대비 31.1% 증가했다. 환경투…
국산차 생산량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 해외 판매수요 위축에 영향을 받았다. 국산차 7개 기업의 상반기 기준 생산량은 162만7534대로 집계됐다.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한국지엠, 쌍용자동차, 대우버스, 타타대우 등 7개 국산차 기업을 집계 대상에 포함했다.14일 데이터뉴스가 산업통상자원부의 '2020년 상반기 및 6월 국내 자동차산업 동향'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선세로 돌아섰던 계룡건설산업의 재무건전성 지표가 다시 악화세로 전환됐다. 이 기업의 올해 3월 말 기준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도는 266.9%, 32.3%로 집계됐다.14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계룡건설산업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 기업의 올해 3월 말 기준 재무건전성 지표가 직전년도 대비 악화됐다.먼저, 개선세를 그리던 부채비율은 악화…
현대제철 1분기 직원 1인당 생산성이 국내 철강업계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간 직원 평균 급여 역시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다.1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철강업계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합계 기준 직원 1인당 생산성(별도 기준)은 3억8280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4억2880…
한화솔루션의 재무건전성 지표가 대폭 악화됐다. 올해 3월 말 기준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도는 각각 114.9%, 39.1%다. 두 지표 모두 안정적이라고 평가되는 기준을 넘어섰다.13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한화솔루션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 기업의 올해 3분기 말 기준 재무건전성 지표(개별재무제표 기준)가 대폭 악화됐다.이 회사 3월말 기준…
국산 완성차 수출이 여전히 힘겹다.기아자동차는 그나마 판매 대수 감소폭이 적어 선방했다. 10일 데이터뉴스가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 등 국산 완성차 5사의 판매 추이를 분석한 결과, 6월 기준 총 판매 대수가 54만9684대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67만8755대) 대비 19.0% 감소했다.판매 경로별로 보면, 수출 판매가 큰 폭으로 줄었다. 이 기…
친구사이인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사장과 정기선 현대중공업지주 부사장이 나란히경영성과를 만들면서, 차기 오너 주자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두 사람은많은 부분에서 닮은 점을 갖고 있어 더 큰 관심을 얻고 있다.10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공시를 분석한 결과, 김동관 부사장과 정기선 부사장이 주도하고 있는 그룹 내 사업이 최근 의미 있는 성과를 내고 있는 것…
GS칼텍스의 폐기물 재활용률이 허세홍 대표 체제서 상승세로 돌아섰다. 2019년 연간 기준 재활용률은 76.0%로 집계됐다.9일 데이터뉴스가 GS칼텍스의 지속가능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 기업은 지난 한해동안 환경투자에 총 616억 원을 투자했다. 직전년도(561억 원) 대비 9.8% 증가했다.대기 부문에 380억 원을 투자해가장 많았고, 이어 토양오염 부문에 109억 원, 폐수 및 해양…
이재용 부회장이 상반기 내내 적극적으로 챙겨온 반도체가 삼성전자 영업이익의 2/3를 담당, 충실한실적 버팀목 역할을 했다.9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공시와 증권사 보고서 등을 분석한 결과,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문은 올해 상반기 약 36조8000억 원의 매출과 약 9조5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1, 2분기를 합쳐 반도체 사업부문은 전년 같…
대우건설의 연간 산업재해 지표가 개선세다. 2019년 기준 환산재해율과 해외 LTIR(근무손실일)이 직전년도 대비 하락했다. 각각 0.06%포인트, 0.05%포인트씩 개선됐다.8일 데이터뉴스가 대우건설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19년 기준 산업재해 지표가 개선세를 그린 것으로 조사됐다.환산재해율, LTIR(Lost-time Injury Rate), 재해자 수 등의 산업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