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뉴스=이윤혜 기자] 동국제강의 직원 1인당 생산성이 전년 동기 대비 7.5% 하락했다. 철강제조업 탑3 중 유일하게 매출액이 감소하며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28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철강제조업 3사(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3사의 직원 1인당 생산성은 평균 2.3%로 상승했다. 동국제강의 직원 1인당…
[데이터뉴스=이윤혜 기자] 올해 2분기 건설공사 계약액이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54조 원으로 집계됐다. 건축, 토목공사 계약액의 증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27일 데이터뉴스가 국토교통부에 공시된 2분기 건설공사 계약액 현황자료를분석한 결과, 2분기 건설공사 계약액이 54조 원으로 조사됐다. 전년 동기(52조 원) 대비 3.9% 증가한 금액이다. 이는 최근 5년간…
▲서비스사이언스포럼(SSNF) 공공IT위윈회가 개최한 세미나를 마치고 강태선 블랙야크 회장(오른쪽에서 5번째)과참석자들이기념 촬영하고 있다.[데이터뉴스=하정숙 기자] “중국시장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10년이 걸렸습니다.10년 동안 꾸준히 관계하면서 시장을 분석했습니다. 뒤늦게 깨달은 것은 그들 역시 유럽제품에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유럽을 통해 중…
[데이터뉴스=이루비 기자] 바이오·제약 매출 상위 10곳 중 삼성바이오로직스 임원 보수가 가장 많았다. 특히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가 받은 보수는 16억7200만 원으로, 이 회사가 지출한 임원보수총액의 79%를 차지했다. 27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 이 회사는임원 5명에게 총 21억…
[데이터뉴스=이홍렬 대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이끄는 대화면풀스크린 OLED 열풍이 거세다.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올해 하반기 플래그십 제품들에 OLED를 사용한 대화면 풀스크린을 대거 탑재하면서 플렉시블 OLED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된다. 플렉시블 OLED는뛰어난 화질을보여줄 뿐만 아니라 LCD와 달리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기 때문에베젤리스, 노치, 엣지 등 다…
[데이터뉴스=박시연 기자] 농심의 당기순이익 규모가 1년 새 16.7%나 쪼그라들었다. 핵심 사업부문인 라면 부문의 시장 점유율 역시 하락세다. 신동원 농심홀딩스 대표이사 회장 겸 농심 대표이사 부회장의 고심이 깊어졌다.21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농심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매출액은 9134억 원, 영업이익 312억 원, 당기순이…
[데이터뉴스=이루비 기자] GS리테일의 HB 브랜드 랄라블라의 올 상반기 점포수 점유율이 감소했다.랄라블라가 속한 사업부문의 GS리테일 영업이익 또한 작년 상반기에 이어 적자가 지속됐다.21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CJ‧GS리테일‧롯데쇼핑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18년 반기말 기준 국내 HB 브랜드 올리브영‧랄라블라‧롭스의 점…
[데이터뉴스=이윤혜 기자] 한국타이어(대표 조현범‧이수일)의 최근 3년간임원 평균연령은53세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다.출신 대학은 연세대와 한양대가 우세했다.21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한국타이어의 사업보고서에서상반기임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최근 3년간의 임원 평균 나이가 각각 53.3세, 53.4세, 53.8세로 집계됐다.2016년 총 임원 74…
[데이터뉴스=강동식 기자] SK이노베이션의 폐기물 재활용률이 정유업계 주요 3사 중 가장 저조했다.가뜩이나 저조한 재활용률은 매년 더 떨어지고 있다. 21일 데이터뉴스가 국내 정유 업계 주요 기업의 폐기물 관리현황을 분석한 결과, SK이노베이션(대표 김준)의 지난해 폐기물 재활용률이 62.4%에 그쳐 경쟁사인 GS칼텍스(대표 허진수)와 에쓰오일(대표 오스만 알 감디)에 비…
[데이터뉴스=이루비 기자] 올 상반기 롯데제과는 연구개발비용으로 61억 원을 지출했다. 제과 3사 중 가장 많은 액수를 투자했으나 영업실적은 경쟁사에 비해 좋지 않았다.20일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롯데제과·오리온·해태제과식품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 상반기 연구개발비용이 가장 높은 곳은 롯데제과였다.제과 3사의 연구개발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