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미지

[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05년 소득분위별 분포

건설교통부(www.moct.go.kr)가 국토연구원에서 실시한 2005년 주택수요조사를 통해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를 분석한 결과, 2000년 334만(전체 가구의 23%)가구에서 2005년 255만(전체 가구의 16%)가구로 약 79만가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31%가 수도권(79만)에, 69%가 지방(176.7만)에 분포했으며, 소득분위별…

- 2006.09.11 00:00
대표이미지

[표] 가구별 사용방수 및 1인당 주거면적

건설교통부(www.moct.go.kr)가 국토연구원에서 실시한 2005년 주택수요조사를 통해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를 분석한 결과, 2000년 334만(전체 가구의 23%)가구에서 2005년 255만(전체 가구의 16%)가구로 약 79만가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구의 평균 사용방수"는 2005년 3.6개로 2000년에 비해 0.2개 증가했고, '1인당 주거면적'도 2000년 20…

- 2006.09.11 00:00
대표이미지

'아이콘브랜드'를 만들어라!!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약해지고 있는 요즘, 이에 대한 해답으로 '아이콘 브랜드' 마케팅이 각광받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소비자의 뇌리에 깊숙이 각인된 아이콘브랜드의 성공전략은 무엇일까? LG경제연구원의 9월13일자 CEO Report 에 따르면, '아이콘 브랜드'란 '운동화=나이키', '자동차=BMW'처럼 어떤 제품을 떠올릴 때 가장 먼저 연상되는 브랜드로서 대규모…

- 2006.09.11 00:00
대표이미지

양성평등 이뤄지면 출산율 '쑥'

2005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1.08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으로 급락한 가운데,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양성평등 사회분위기가 조성돼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삼성경제연구소(www.seri.org)가 발표한 에 따르면, 남성일자리 우선권이 없어져 실질적인 양성평등 사회분위기가 조성될 때 0.25명의 출산율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06.09.11 00:00
대표이미지

취업 1차 관문, 실무 능력이 가장 중요

서류전형에서 좋은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실무 능력을 갖추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사취업전문기업 인크루트(www.incruit.com)가 대기업 85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개사 중 약 8개사(83.5%)가 신입사원 채용시, 서류전형에서 가산점을 주거나 우대하는 항목이 있다고 밝혔다. 그 항목으로는 △지원 직종 관련 자격증 53.0% △실무 유경…

- 2006.09.11 00:00
대표이미지

비만 환자수 5년새 9배 증가

비만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보험공단이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열린우리당 장복심의원(www.cbs21.or.kr)에게 제출한 에 따르면, 비만 환자수가 2000년 3,111명에서 2005년 2만7,977명으로 5년 새 9배로 크게 증가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한 진료비도 2005년 11억9,510만원에 달해 2000년(1억5,849만원)보다 7…

- 2006.09.11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비만 질환 진료비 추이

건강보험공단이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열린우리당 장복심의원(www.cbs21.or.kr)에게 제출한 에 따르면, 비만 환자수가 2000년 3,111명에서 2005년 2만7,977명으로 5년 새 9배로 크게 증가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한 진료비도 2005년 11억9,511만원에 달해 2000년(1억5,849만원)보다 7.5배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 2006.09.11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비만 관련 질환 환자수 추이

건강보험공단이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열린우리당 장복심의원(www.cbs21.or.kr)에게 제출한 에 따르면, 비만 환자수가 2000년 3,111명에서 2005년 2만7,977명으로 5년 새 9배로 크게 증가했다. 또한 2005년을 기준으로 비만과 관련한 질환 환자수는 2000년보다 각각 ▲당뇨병 1.6배 ▲심장질환 1.4배 ▲고지혈증 2.5배 ▲고혈압 1.9배 ▲심근경색 1.5배로 늘었다…

- 2006.09.11 00:00
대표이미지

개발전 환경성 검토 "급증"

각종 개발사업의 초기 단계에서 환경부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협의를 거치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환경부(www.me.go.kr)가 발표한 에 따르면, 올 해 들어서만 총 1,678건(월평균 280건)이 접수돼, 2001년 월평균 164건에 비해 70.0% 증가했다. 이는 제도 시행이후(2000년8월17일), 사전 환경성 검토 협의대상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기 때문…

- 2006.09.11 00:00
대표이미지

[그래프] 사전 환경성 검토 협의 유형별 결과 추이

환경부(www.me.go.kr)가 발표한 에 따르면, 올 해 들어서만 총 1,678건(월평균 280건)이 접수돼, 2001년 월평균 164건에 비해 70.0% 증가했다. 협의 완료된 1,617건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조건부 동의가 1,363건(84.3%)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반려 등 기타 191건(11.8%), 부동의 41건(2.5%), 원안동의 22건(1.4%) 순이었다. 부동의 건수는 제도 시행초기…

- 2006.09.11 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