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50세를 기준으로 각 연령층의 직업군이 극명하게 대비됐다. 50세 미만은 사무직이나 서비스업 종사자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50세 이상은 농축산업 종사자나 청소 등 단순노무직이 많았다. 24일 데이터뉴스가 통계청에 공시된 '2018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를 분석한 결과, 작년 하반기 기준 취업자 가운데 398만4000명이 '경영 및 회계 관련 사무직'인 것으로 나타…
국무조정실 산하 공공기관장 24명 중 7명이 대통령 소속 기관이나 위원회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실(대통령비서실) 등 대통령 소속 기관 출신이 2명,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등 대통령 소속 위원회 출신이 5명으로 집계됐다.23일 데이터뉴스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국무조정실 산하 공공기관장 24명의 출신 이력을 분석한 결과,7명이 대통령 소속 기관…
해양수산부 산하 공공기관장 16명 중 7명이 해양 관련 전공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항해학공학, 해양학 전공자가 각 2명이었고, 어업학, 조선해양공학, 해양토목공학 전공자가 각 1명씩으로 집계됐다.22일 데이터뉴스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해양수산부 산하 공공기관장의 학사 기준 전공을 분석한 결과, 전공이 파악된 16명 중 7명이 바다와 관련이 있었다…
기획재정부 출신 관료들이 정부 산하 공공기관장에 다수 진출하며 막강 파워를 과시하고 있다. 특히금융위원회 산하기관장은절반이, 기획재정부 산하기관장은전체가 기재부 출신이다. 기재부 출신 관료는문화체육관광부, 해양수산부 산하 공공기관장에도 각각 1명씩 진출해 있다.19일 데이터뉴스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339곳 수장의 이력을 분석한 결과…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장 중 절반 이상이 인문 계열 전공자로 나타났다. 자연 계열은 28.6%, 예체능 계열은 14.3%를 차지했다.18일 데이터뉴스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장 32명(원장직무대행 포함)의 학사 기준 전공을 분석한 결과, 전공이 파악된 28명 중 16명이 인문 계열 전공자로 나타났다.인문 계열 출신자를 전공…
여성가족부 산하 공공기관장 5명은 모두 박사학위 소지자로, 정부 18개 부(部)별 산하기관장 중 박사 출신 비중이 가장 높았다.이어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순으로 박사 학위 소지비율이 높았다.17일데이터뉴스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공공기관 339개 기관의 수장을 전수조사한 결과, 박사 학위를 소지한 기관장은 총 189명으로 집계됐다…
공공기관장과 30대 그룹 CEO를 배출한 지방대학을 지역별로 나눴을 때 각각 60% 이상이 영남권 소재 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부산대, 경북대, 영남대 순으로많았다.16일 데이터뉴스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공공기관 339개 기관의 수장에 대해 전수조사한 결과, 공석 및 최종학력이 고졸인 기관장 등을 제외한 317명 중 59명(18.6%)이…
↑박정원 회장을 비롯한 두산그룹 총수일가 경영자의 지난해 연봉이 대부분 상승했다. 하지만, ㈜두산, 두산중공업 등 일부 계열사 직원 평균 급여는 되레 줄었다.15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두산그룹 주요 계열사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보수가 공개된 4명의 두산그룹 총수일가 경영자 연봉이 대부분 전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박정원 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광주제일고 출신이 급부상한 가운데, 공공기관장 또한 광주제일고 출신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5일 데이터뉴스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공공기관 339개 기관의 수장에 대해 전수조사한 결과, 공석인 기관을 제외하고 출신 고등학교가 파악된 기관장은 총 250명이다. 이들이 졸업한 고등학교를 중복 제거…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액·상습 체불 사업장 중 63.7%가 제조·건설업종으로 나타났다. 총 242명의 사업주가 공개됐는데, 그 중 154명이 제조·건설업종의 사업주다.12일 데이터뉴스가 고용노동부에 공시된 고액·상습 체불 사업주를 분석한 결과, 명단이 공개된 사업주는 총 242명으로 집계됐다.고용노동부는 지난 2013년 9월부터 고액·상습 체불 사업주 명단을 공개하고 있다…